지방은행 연체율 올해 1% 돌파
반년 만에 0.35%p 악화
중소기업 대출 부실 확대 부담
가계대출 연체도 1% 도달

▲부산의 아파트와 고층빌딩.
지역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지방은행들의 연체율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중소기업·자영업자 등 기업대출은 물론 가계대출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어 자산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7일 각 은행에 따르면 지방은행인 BNK부산·BNK경남·전북·광주은행과 시중은행으로 전환했지만 아직 지역 기반인 iM뱅크 등 5개 은행의 상반기 말 평균 연체율은 1.05%로 나타났다. 전분기 대비 0.04%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연체율이 1%를 넘으면 건전성에 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은행권은 분석한다.
연체율은 특히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0.7%였는데 올해 1분기 말에 1.01%로 뛰었고, 2분기 말에는 1.05%로 상승하며 반년 만에 0.35%p 악화됐다.
가장 큰 부담은 기업대출에서 나타나고 있다. 기업대출 평균 연체율은 1.05%로, 지난해 말 대비 0.4%p 높아졌다. 이중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1.16%까지 치솟으며 6개월 만에 0.44%p나 높아졌다. 지역 경기 상황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자 은행 기업대출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부실 대출이 늘어나고, 소규모 기업과 자영업자의 상환 여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은행의 경우 0%대였던 대기업 대출 연체율도 0.53%로 상승했다.
은행별로 보면 전북은행의 총연체율이 1.58%로 가장 높았다. 전분기에 비해서는 0.01%p 줄었으나, 작년 말과 비교하면 0.49%p 상승했다. 경남은행 총연체율도 1.02%로 1%를 넘어섰다. 전분기보다 0.34%p, 지난해 말보다는 0.57%p 급등했다. 이어 부산은행 0.94%, iM뱅크 0.93%, 광주은행 0.76%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대출 연체율을 봐도 전북은행이 1.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iM뱅크가 1.05%를 기록했고, 경남은행 1.03%, 부산은행 0.98%, 광주은행 0.71%로 뒤를 이었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안심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 가계대출 평균 연체율은 1%로, 전분기 말 대비 0.05%p, 지난해 말 대비 0.24%p 증가했다. 경기 침체가 가계의 상환 능력에도 충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부실채권이 늘어나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악화했다. 5개 은행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9%로 집계됐다. 전분기보다는 0.01%p 소폭 낮아졌지만,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0.22%p 상승했다.
지역 경기 회복의 뚜렷한 신호가 보이지 않으며 지방은행의 자산건전성 관리는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연체율이 하반기에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주성 BNK금융 위험관리책임자(CRO)는 지난달 상반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하반기 건전성 예측을 위해 은행과 계열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분기 말 1.62%에서 연말에는 1.4~1.6%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