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4분기 연속 최대실적…‘소버린 AI’ 매출 견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08 14:50

2분기 매출 2.9조 11%↑, 영업익 5126억 10%↑

AI브리핑 검색 고도화로 서치플랫폼 매출 1조 돌파

검색 지속성장에 커머스 20% 가까운 급성장 과시

넷플릭스 제휴·네이버페이 결제, 거래액 동반증가

AI검색 쿼리 비중 20%↑, 중동·유럽 진출도 확대

ㅁㅁㅁㅁ

▲경기 성남시 네이버 1784 사옥 전경.

네이버가 검색·커머스 등 핵심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4분기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하반기 인공지능(AI) 서비스 접목 영역을 지속 확대하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 공략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9151억원·영업익 5216억원·당기순익 4974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1%·10.3%·49.8% 증가한 수치로, 분기 역대 최대치다. 4분기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검색(서치플랫폼)의 견조한 흐름과 함께 커머스의 성장세가 두드러진 점이 고른 매출 증가를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사업 부문별로 서치플랫폼 매출은 지난 3월 도입한 인공지능(AI) 검색 요약 서비스 'AI 브리핑' 기능 고도화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5.9% 증가한 1조365억원을 기록했다.


광고 상품 개선 효과와 타게팅 고도화도 주효했다. 네이버는 상반기 패션·뷰티·리빙·푸드 등 6개 주제 지면을 피드화해 광고 지면을 최적화했다. 그 결과, 2분기 피드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8% 성장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실적발표 후 진행된 콘퍼런스 콜에서 “AI 브리핑은 현재 월간 약 3000만명이 활용 중이며, 도입 이후 이용자들의 검색결과 체류시간은 20% 이상 증가했다"며 “피드화된 지면의 콘텐추 노출 수와 체류시간 등이 동반상승했다"고 말했다.


같은 기간 커머스는 19.8% 증가한 8611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출시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애플리케이션(앱)의 멤버십·N배송 경쟁력을 높여 시장 안착에 성공한 점이 주효했다. 2분기 온-플랫폼 거래액은 스마트스토어·서비스 거래액 성장에 힘입어 9% 상승했다.


넷플릭스와의 제휴 또한 쇼핑 거래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함께 출시한 멤버십 혜택 'PC 게임 패스'를 통해 20·30대 남성 이용자들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최 대표는 “넷플릭스와 제휴는 신규 가입자 수 증가, 쇼핑 지출 확대로 이어지며 전체 거래액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줬다"며 “활성 이용자·유료 이용자 수 모두 전년 동기보다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스토어의 성장세는 핀테크 부문 호조로 이어졌다. 핀테크는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 성장한 4117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스마트스토어 성장 및 외부 생태계 확장으로 지난해보다 18.7% 증가한 20조8000억원대를 달성했다.


콘텐츠와 엔터프라이즈 부문 매출은 4740억원, 131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12.8%, 5.8% 늘었다.


네이버는 하반기 AI 서비스를 고도화해 수익화 기회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올해 안에 AI 브리핑의 쿼리(질의어) 적용 범위를 20%까지 넓히고, 통합검색 개편을 통해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게 목표다. 내년엔 대화형 AI 검색 탭을 출시해 데이터 기반 검색 경험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외부 파트너사와의 제휴 또한 지금보다 늘려 멤버십 혜택도 강화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 콘텐츠를 숏폼(짧은 동영상) 형태로 클립에서 시청하거나, 'PC 게임 패스'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치지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전반에 걸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최 대표는 “최종적으로는 AI 검색 행태에 대한 이해와 기술 적용 노하우를 토대로 네이버 생태계 전반을 관통하는 통합 AI 에이전트를 선보이는 것"이라며 “외부 파트너사와의 멤버십 제휴는 회사가 추구하는 콘텐츠 생태계 확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도 가속화한다. 최근 스페인 최대 C2C(소비자간거래) 플랫폼 왈라팝을 인수하면서 유럽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 향후 국내 커뮤니티와 해외 플랫폼 간 기술 협업을 통해 C2C 시장 진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중동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이 순항 중인 가운데, 중동 내 다른 도시로도 사업 반경을 넓히는 게 목표다.


최 대표는 “태국에서의 소버린(주권 확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모로코를 거점으로 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미래 로봇 플랫폼 확보를 위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과의 휴머노이드 연구 협력, 라인웍스 대만 진출, 일본 AI 안부전화 서비스 등 글로벌 협업·신사업 기회를 다각도로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