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분양 세대 수 약 200세대로 적은데다 홍보 필요성 적은 잠실 신축 고급 단지
현장 안팎 “조합 내홍으로 어수선한 상황서 굳이 견본주택 운영 비용 지출 안 해”
“건설사 사고로 대통령 강한 처벌 언급에 대대적 홍보 부담… 조용히 청약받고 입주”

▲지난 7월 서울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 공사 현장 전경. 연합뉴스
롯데건설이 올해 신규 분양 단지 중 최대 관심 사업지로 손꼽히는 '잠실 르엘'의 분양을 앞두고 눈에 띄는 홍보를 하지 않는 '정중동' 행보를 보여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9일 주택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다음달 1일 잠실 미성크로바 아파트를 재건축 하는 '잠실 르엘' 일반 분양 물량을 분양한다.
특이한 것은 실물 견본주택을 마련하지 않고 이날부터 롯데캐슬 공식 홈페이지 내 개설된 사이버 견본주택만 문을 열어 홍보를 시작했다는 점이다. 잠실 주공 5단지 재건축 시기가 기약 없는 상황에서 잠실 르엘은 잠실 일대 실질적인 마지막 재건축 사업지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롯데건설의 하이엔드 주거 브랜드인 '르엘'이 적용된다. 무엇보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아 일대 시세 대비 10억원 이상 싼 가격에 분양가가 책정돼 당첨자가 개발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로또 분양'이 예상된다.
실제 잠실 르엘은 5㎡, 51㎡, 59㎡, 74㎡ 등 소형 평형만 일반분양으로 공급되는데 ▲45㎡(18평) 12억1450만원 ▲51㎡(20평) 13억6310만원 ▲59㎡(24평) 16억2790만원 ▲74㎡(30평) 18억7430만원이다. 단지 바로 옆에 오는 12월 입주를 앞둔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74㎡ 17층이 7월 18일 31억원에 팔렸고, 59㎡ 호가는 27억~28억원에 형성돼 있다. 인근 시세 대비 10억원 이상 저렴해 '로또 청약'으로 평가받는 단지다.
이처럼 올해 롯데건설 신규 분양 사업지 중 최대어로 꼽히는 잠실 르엘의 청약을 앞두고 정작 롯데건설은 오프라인 견본주택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온라인으로만 일반 분양 홍보에 나서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보통 1순위 청약 1~2주일 전에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일반분양 홍보에 나서는 것이 주택업계 관행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조합 측에서 굳이 견본주택을 운영하고 싶지 않다고 요청해 왔다"며 “일반 분양 세대 수도 약 200세대로 비교적 적은데다,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지 않아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유명 단지라 굳이 견본주택 운영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조합 관계자는 “견본주택 운영도 결국 비용이 지출되는데다, 어짜피 내년 1월에 입주를 앞둔 후분양 단지라서 입주를 코 앞에 두고 굳이 견본주택을 운영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시공사인 롯데건설과 시행사인 조합 측의 설명 외에도 잠실 르엘이 견본주택을 열지 않고 조용하게 일반분양을 진행하는 사유엔 여러 복잡한 사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잠실 르엘 인근 A부동산 공인중개소는 “잠실 르엘 조합이 최근(7월)까지도 내부에서 비대위와 조합장 간 갈등으로 일반분양 시기가 여태까지 계속 미뤄져 왔고, 연말연초로 예정된 입주일은 다가오는 상황에서 청약을 앞두고 당장 급한 불은 꺼야겠다는 것엔 의견이 모두 일치돼 휴전 비슷하게 잠시 내홍을 정리한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이어 “여기에 최근 건설사 사고로 대통령이 계속 강하게 처벌을 얘기하는 분위기라, 조합 쪽에서도 굳이 요란하게 견본주택을 열고 사람들을 모으기보다는, 조용하게 일반분양을 받고 빨리 청약을 끝내서 입주 전에 혹시 모를 문제를 정리하고 싶은 모양새"라고 전했다.
한편, 잠실 르엘은 7월말 기준 공정률 82.43%를 기록 중으로, 내년 1월 입주 예정이다. 오는 29일(금)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다음달 1일 1순위 해당지역, 2일 1순위 기타지역, 3일 2순위 접수로 청약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