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서 열차 사고로 근로자 2명 사망, 5명 중경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19 14:16

또 선로 비극, 코레일 안전은 어디에 있나




청도서 점검 근로자 7명 무궁화호에 참변


1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변전소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밀양으로 향하던 무궁화 열차에 선로 근로자가 충돌한 사고 현장 제공=청도소방서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경부선 철로에서 구조물 안전 점검을 하던 근로자들이 달리던 무궁화호에 치여 2명이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19일 오전 10시 52분 발생한 이번 사고는 단순한 '현장 부주의' 차원을 넘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구조적 안전관리 부실 문제가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열차 운행 몰랐다" 반복되는 현장 사망사고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남성현역 인근 옹벽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해 하행선 구간을 이동 중이었다.


그러나 운행 중인 열차 접근을 제때 파악하지 못했고, 순식간에 참사가 벌어졌다.


소방·경찰 인력 65명이 긴급 투입돼 구조작업에 나섰으나, 두 명의 목숨은 끝내 구하지 못했다.


철도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열차에 치이는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몇 년간 선로 보수·점검 과정에서 유사한 인명사고가 반복돼 왔지만, 개선책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산업재해 '상위권' 오명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코레일은 매년 수십 건 이상의 중대재해가 보고되는 기관이다.


2020년 대전 조차장역 선로 보수 노동자 사망, 2022년 서울 구로구 철로 보수 중 사망사고 등 최근 5년간 크고 작은 산재 사고가 이어졌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철도 현장의 안전은 여전히 인력 의존에 기대는 '낡은 시스템'에 머물러 있다"며 “근본적인 안전 관리 체계 전환 없이는 비극이 되풀이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구조적 원인, 책임은 누구에게


전문가들은 △열차 운행과 작업시간 조율 미흡 △위험 작업 하청·재하청 구조 △현장 안전감독 인력 부족 등을 구조적 원인으로 꼽는다.


이번 청도 사고 역시 작업 계획과 열차 운행 스케줄 간 사전 조율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철도 안전 전문가 A씨는 “선로 작업은 열차 운행이 중단된 시간에 이뤄지는 것이 원칙"이라며 “코레일이 '안전보다 운행'을 우선시하는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또 다른 인명 피해를 피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제도는 있지만 실행은 '구멍'


정부는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공공기관의 안전 관리 강화를 강조해 왔지만, 실효성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다.


코레일도 매년 안전 투자 예산을 늘리고 있다고 홍보하지만, 현장 체감도는 낮다. 실제로 사고 이후에도 현장 근로자 다수는 “실제 안전 교육은 형식적이고, 작업 시간 조정은 늘 인력 부족과 업무 압박으로 밀려난다"고 토로한다.


◇“안전이 경영 최우선 돼야"


이번 청도 사고로 다시 한 번 경종이 울렸다. 근로자의 목숨이 담보되지 않는 철도 안전은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다.


노·사·정부 모두가 책임의식을 갖고 △철저한 작업-운행 분리 △상시 안전감독 강화 △위험 외주화 근절을 실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 사회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철도가 국민의 발이라면, 그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생명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치"라며 “안전 경영이 선언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손중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