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전쟁 본격화…亞 기준금리 줄인하, 한은도 동참할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22 16:39
취재진 질문듣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전 세계를 상대로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이달 본격 시행되자 아시아 수출국가들의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이에 아시아 주요 중앙은행들은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하로 경제 둔화에 대응하고 있는데 한국도 이같은 인하 행보에 동참할지 관심이 쏠린다.




2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은 지난 20일 시장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같은 날 뉴질랜드중앙은행(RBNZ)도 경제 성장이 둔화됐다는 이유로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 이에 뉴질랜드 기준금리는 3.0%로 3년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특히 이번 인하 결정은 4대 2의 다수결로 이뤄졌는데 소수의견을 낸 2명은 50bp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호주 웨스트팩 은행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RBNZ가 올 연말까지 금리를 2차례 더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음 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과 필리핀 중앙은행도 통화 완화 행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은 오는 28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2.5%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과 5월 기준금리를 0.25%p씩 인하한 바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이코노미스트들은 한국, 태국, 호주, 말레이시아, 대만의 기준금리가 앞으로 50bp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 스왑 시장에서는 필리핀이 향후 6개월 뒤 40bp의 금리 인하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6월까지만 해도 10bp 인하가 예상됐었다.


이렇듯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하에 줄줄이 나서는 배경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그동안엔 미국의 본격적인 관세 부과에 앞서 각국이 미리 제품을 내보내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이달 본격 시행됨에 따라 수출이 앞으로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모건스탠리는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이 올 연초 5%에서 현재 25%로 뛰었다고 추산했다.


또다른 글로벌 투자은행 씨티그룹의 나단 시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명확한 처방은 통화정책을 완화하는 것"이라며 관세가 임금과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