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조속한 인선 촉구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노동조합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노동조합이 차기 사장 인선 지연에 따른 경영 공백과 사업 차질을 경고하며 정부의 조속한 인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26일 KAI 노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당사 차기 사장 인선이 지연되면서 회사와 국가 전략산업인 항공우주 전반에 공백과 혼란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강구영 사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9월 초를 전후해 인선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대통령의 해외 순방과 최대 주주인 수출입은행장 인선 지연 등이 겹치면서 KAI 사장 인선 역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 측의 설명이다.
노조는 사장 부재로 인한 부작용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KF-21 양산 준비와 FA-50 수출, 수리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등 핵심 프로젝트들이 연달아 지연되고 있으며, 수천억 원 규모의 수출 협상도 결론을 내지 못해 현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경영 공백은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조는 “실제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고, 업계는 방산 수출 계약 실행 지연이 원인이라고 지적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수출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주가에도 반영되어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현 사태의 책임이 정부와 정치권에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이재명 정부를 향해 “정권과 여당은 KAI를 감사 대상으로 지목하며 사장을 조기 퇴임시키는 결과를 초래했고, 그 결과 회사를 이끌 리더가 사라져 주요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AI 기반 K-방산 글로벌 4대 강국(G4)' 실현을 약속했던 점을 상기시키며 현재의 리더십 공백 상태가 국가 전략산업을 무너뜨리는 심각한 위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