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여력 축소에 한숨...저축은행 “상반기 회복에도 안심은 일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2 13:35

주요 저축은행 5곳 상반기 순익 1600억
전체 상반기 순이익은 2570억원 기록

부실채권 정리·대손충당금 적립의 결과
여신잔액 줄고 수신잔액 늘어…업계 한숨

저축은행업계가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비용 감소로 크게 개선세를 이룬 상반기 성적을 나타냈다.

▲저축은행업계가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비용 감소로 크게 개선세를 이룬 상반기 성적을 나타냈다.

수년간 적자를 보인 저축은행업계가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비용 감소로 상반기 실적에서 크게 개선세를 이뤄냈다. 자본적정성과 연체율 지표도 개선되면서 고무적이란 평가가 나오지만 경기 회복 지연과 대출 축소가 성장에 있어 한계점으로 꼽힌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주요 저축은행 5곳(OK·SBI·한국투자·웰컴·애큐온)의 당기순이익은 총 1587억원으로 전년동기(603억원) 대비 163.18% 급증했다.


애큐온저축은행을 제외하고 1년 전 대비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OK저축은행은 73억원에서 331억원으로, SBI저축은행은 161억원에서 562억원으로 증가했다. 웰컴저축은행과 한국투자저축은행은 각각 388억원, 218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순이익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주요 회사의 실적 개선에 따라 저축은행 79곳의 전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570억원을 기록했다. 1·2 분기에 연속으로 흑자를 시현한 결과다. 업계는 지난해 상반기 395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2023~2024년 4개 반기 모두 적자를 나타냈다.


상반기 말 BIS비율은 15.60%로 전분기(15.28%)대비 0.32%p 상승했다. 증자 등 자기자본이 증가한 영향에 전분기 대비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지속하는데 성공했다.




적극적인 부동산 PF 공동펀드 매각 등 매·상각을 지속한 결과 연체율은 7.53%로 전분기(9.00%)대비 1.47%p 하락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9.49%로 전분기(10.59%) 대비 1.10%p 축소했다. 유동성비율과 대손충당금비율은 각각 189.26%, 111.95%로 법정기준 100% 대비 89.26%p, 11.95%p씩 초과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는 부실채권 정리와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을 이어온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앞서 PF 사업성 평가 강화 등에 따라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 왔고, 대손충당금 전입액 감소로 전분기 대비 순이익 규모가 증가했다. 부실채권 정리를 통해 부실여신을 줄이는 노력도 이어왔다.


그러나 일각에선 경기회복 지연과 거래자 상환능력 저하 등 자산건전성 악화요인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는 우려가 따른다.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 영업환경도 비우호적인 방향으로 강해지고 있어 이번에 나타낸 회복세가 이어질지 미지수란 분석이다.


특히 업계 대출 규모가 7개월 연속 쪼그라들며 이자수익마저 줄어들고 있어 성장세에 발목을 잡고 있다. 부동산 PF부실로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면서 보수적 대출 영업을 이어온 영향으로 평가된다.


대출영업 위축으로 여신잔액이 감소 중인 것과 달리 수신잔액은 늘고 있는 점은 실질적인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수신잔액은 지난 6월 기준 99조5159억원으로 전월 대비 소폭 늘었다. 반면 여신잔액은 94조9746억원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감소세다. 수신 증가로 인해 이자 지급 부담은 늘어나는 한편 여신 감소로 이자수익은 줄어드는 구조가 고착화 중인 것이다.


6·27 대책 이후 신용대출이 급감한 상태에서 기업대출이나 담보대출을 확대해야 하지만 업계의 건전성 회복 방침에 따라 부동산 PF 부실 대출부터 정리하자는 기조가 앞서는 실정이다. 이런 와중 교육세 인상까지 더해지면서 대출 여력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런 업황에 대비해 업계는 건전성지표 개선 등 경영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경영전략을 시행할 전망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관리 강화를 위한 자구노력의 결과로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며 “부동산시장 경기회복 지연,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지속되고 있고, 영업 정상화를 통한 수익성이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임에 따라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시기는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본연의 역할인 햇살론, 사잇돌2 및 중금리 대출 등 서민금융을 지속 공급할 계획이지만 공급 역할이 위축될 것이란 예상도 있다. 이자수익 축소 대응과 성장성 확대를 위해 우선 온투업 연계대출 활성화, 신용평가 체계 개선 등 신성장동력 발굴에 집중할 방침이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