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수주 3번째 계약 성사…美 생산거점 기반 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기대”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 전경.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출범 후 3번째 자체 수주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바이오 기업과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고객사는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며, 계약 기간은 오는 2030년까지다.
이번 계약은 혁신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3상과 상업화를 위한 프로젝트 관련 위탁생산 물량으로, 다수의 적응증으로 확대를 추진 중인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CMO 등이 골자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파트너사의 임상 파이프라인 확대와 신약 개발에 기여하는 한편, 환자의 혁신의약품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품목허가 시 추가적인 협력 가능성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 내 상업생산 역량과 품질 경쟁력을 재입증하며, 미국 내 생산 거점이 지닌 지리적 이점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는 게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설명이다.
특히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와 2027년 가동 예정인 인천 송도 바이오캠퍼스를 단일 품질 시스템으로 운영하면서 미국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확대는 물론, 안정적인 공급과 신속·유연한 수요 대응 역량을 갖췄다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밝혔다.
이번 수주는 지난 2022년 롯데바이오로직스 출범 이후 시러큐스 공장 인수로 넘겨받은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의 생산물량 외에 자체 신규 수주로는 세 번째 계약 체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앞서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4월 시러큐스 캠퍼스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시설을 준공하면서 첫 자체 CDMO 물량을 수주했고, 이어 6월에는 미국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현장에서 두 번째 자체 물량을 수주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바이오의약품 온쇼어링(자국 내 생산) 정책기조 속에서 현지 생산시설을 활용해 현지 기업과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글로벌 고객 기반을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당사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 경쟁력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바탕으로 체결된 성과"라며 “세계적인 바이오 제조 허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하고 전 세계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파트너사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