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본코리아 백종원 “한식의 세계화, ‘K-소스’로 승부볼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4 07:39

글로벌 B2B 겨냥 ‘TBK 소스’ 론칭 기념 간담회 개최
양념치킨소스 등 11종 올해 내 출시 “진짜 한국의 맛”
“납품용 소스에 강점…5년 내 해외매출 1천억 낼 것”

백종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3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TBK 글로벌 기업 간 거래(B2B) 소스 론칭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희순 기자

농지법 위반 및 원산지 표시법 위반 등으로 '가시밭길'을 걷고 있는 더본코리아가 'K-소스'로 글로벌 시장에 출사표를 낸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3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을 타깃으로 한 소스 제품 론칭을 공식화했다.


가맹점에 제품을 납품해온 프랜차이즈 내공을 바탕으로, 세계 각국의 유통업체 및 한식 레스토랑과의 협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양념치킨 소스, 된장찌개 소스, 떡볶이 소스 등 총 11종의 소스를 올해 안에 출시하고 오는 2030년까지 더본코리아의 해외 매출을 1000억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백 대표는 “한식을 세계화 하는 데 있어 변형되지 않는 레시피는 결국 소스"라며 “TBK(The Born Korea) 소스를 통해 더본코리아가 글로벌 무대에 '진짜 한국의 맛'을 제대로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식품업계의 소스류 수출액은 3억9976만달러(약 5567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통 한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는 점은 K-소스에게 가장 큰 기회다. 특히 더본코리아가 가장 예의주시하는 시장은 미국이다.




백 대표는 “해외에 나가보면 한식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폭발적이라는 걸 체감하게 된다"며 “특히 미국의 경우 어느정도 한식에 대해 알려져 있으면서도 더 깊은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백 대표는 해외 시장에 출시된 다른 'K-소스'와 비교해 TBK가 가지는 경쟁력에도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앞서 해외시장에 소스 제품을 선보인 기업들은 주로 가정용 소스를 만들던 회사지만, 더본코리아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기반으로 태생부터 납품용 소스를 개발해온 회사"라며 “검증된 표준화된 레시피와 대량 조리 노하우 등을 갖추고 있는 만큼, 제품력만큼은 누구보다 자신 있다"고 강조했다.


대기업 대비 부족한 마케팅 비용과 영업력은 백 대표가 직접 나서서 메울 계획이다.


백 대표는 “마케팅 비용 지출을 줄이기 위해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마케팅에 힘을 실을 예정"이라며 “오프라인 영역에서는 내가 직접 몸으로 뛰는 수밖에 없겠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스 패키지에 들어간 'QR코드 레시피'도 TBK의 차별화 포인트 중 하나다. QR코드를 찍으면 1분 내외의 짧은 레시피 영상을 볼 수 있고, 레시피 영상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더본코리아는 국내에 시판된 '만능 양념장' 패키지에도 이를 순차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백 대표는 “소비자가 레시피 영상을 시청하다가 곧바로 제품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소스를 다 사용한 뒤에도 레시피 영상을 보기 위해 소스 용기를 보관하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백 대표가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100억원의 사재를 내놓게 된 배경도 언급됐다. 앞서 백 대표는 상생위원회 출범 당시 사재 출연 의향을 내비쳤고, 이는 전날 더본코리아 공시를 통해 공식화됐다. 공시에 따르면 백 대표는 더본코리아 개인주식을 담보로 120억원의 대출 약정을 받았고, 이중 100억원을 상생위원회 운영을 위해 쓰기로 했다.


백 대표는 “개별 점주님들이 자영업자로서 어려움을 많이 겪고 계시는데, 사실 이 부분을 회사 차원에서 해결하기에는 주주들에게 설득력이 떨어졌다"며 “상생위원회 외부 자문위원들과 함께 고민한 끝에 일단 필요한 곳에 자금을 쓰기 위해 사재를 출연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지만, 아직 명확하게 정해진 바는 없다"며 “상생위원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하고 외부 자문위원의 자문을 받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