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영의 아파토피아] 강남권 ‘미니신도시’ 헬리오시티…“입지 최고지만 토허제 묶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23 15:46

가락시영 재건축 해 1만 세대-4만명이 거주하는 미니 신도시급 대단지 아파트 재탄생
잠실-강남 생활권 공유 입지적 강점… 대치동 가까워 강남 개발 대기 수요 상당수 진입
3세대 신축아파트 특징인 하단부 대리석 마감 및 필로티 구조 갖추지 않아 고급화 안돼
일부 동 외벽에 상당수 페인트 도색 벗겨져 있어 아파트 관리 소홀한 점도 눈에 띄어
가격 3~4배 올랐지만 송파구 토허제 규제로 거래 어려워 투자 수요는 상당수 실종

[편집자주] 대한민국 가구 중 절반이 아파트에 산다. 아파토피아는 우리가 왜 아파트에 집착하는 지 알아 보기 위해 서울의 인기 있는 주요 아파트단지들을 직접 찾아가 소개하는 코너다. 또 아파트와 관련한 주요 이슈나 현안을 분석·해설해주고 전문가나 화제의 인물을 만나 직접 얘기도 들어 본다. <2> 헬리오시티



헬리오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단지 입구 문주 전경. 임진영 기자

2018년 12월 입주가 시작된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는 가락시영 아파트를 84개동, 9510세대 규모로 재건축한 대한민국 시가총액 1위 아파트다. 단지 내 모든 세대의 집값 총합이 가장 비싸다는 얘기다.




KB국민은행 조사 결과 2025년 8월 기준 헬리오시티 시총은 21조8700억원에 달한다. 이는 23일 종가 기준 코스피 기업 시총 27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시총 순위 28위 기업인 삼성화재(21조961억원)와 29위 기업인 LG화학의 시총 21조718억원을 뛰어넘는 규모다.


4만여명이 거주하는 헬리오시티는 작년 말 둔촌주공을 재건축 한 올림픽파크포레온이 완공되기 전까지 약 6년간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대단지 아파트로 자리매김 해 왔다. 우리나라 유수의 대기업보다 더 높은 자산 가치를 지닌 헬리오시티의 시초는 서울도시개발공사(현 SH)가 지은 시영아파트로부터 시작된다.



핼

▲헬리오시티 단지 내 상가 전경. 공실이 거의 없이 다양한 상점이 입점해 있다. 임진영 기자

1970~80년대 정부 주도의 아파트 보급 정책으로 대한주택공사(현 LH)가 주공아파트를 서울 내에 대규모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짓기 시작하자 기존에 사업지에 살고 있는 철거민들은 집을 잃게 됐다. 이에 서울시가 나서 이들 철거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 지은 아파트가 시영아파트다.


시영아파트는 헬리오시티의 전신인 가락시영 외에도 잠실시영, 고덕시영, 문정시영, 성산시영 등 주공아파트가 공급된 인근에 대거 들어섰다. 서울 내 재건축 바람과 함께 2006년 잠실시영이 파크리오로 재건축을 마쳤고, 2016년엔 고덕시영이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로 재건축 됐다.




1980년 134개동 6600세대 규모로 입주한 가락시영은 2003년 재건축 조합이 설립돼 개발을 추진했고, 2008년부터 원주민 이주를 시작했지만 조합 내분과 정부의 재건축 규제에 가로막혀 2015년이 돼서야 이주를 마쳤다. 그해 9월 착공에 이어 11월 일반분양을 거쳐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3개 대형 건설사의 컨소시엄 공동 시공을 통해 3년여 공사 끝에 15년만에 재건축이 완료됐다.


헬

▲8호선 송파역과 헬리오시티가 바로 맞붙어 있는 모습. 임진영 기자

지난 22일 직접 찾아 가본 헬리오시티는 뛰어난 입지와 잘 갖춰진 인프라를 자랑했다. 반면 토지거래허가제에 묶여 거래가 제한되면서 투자가 어려워 '고급' 이미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우선 교통 입지는 뛰어났다. 서울지하철 8호선 송파역 3번 및 4번 출구와 입구 정문이 바로 맞닿아 있는 초역세권 입지에 위치해 있었다. 다만 송파역이 단지 맨 서쪽변 끝에 붙어있어 송파역과 정반대편에 위치한 동쪽변 끝 동들의 경우 도보로 15분 이상이 걸려 역세권이라 보기엔 거리가 있었다.


단지 정문에 들어서면 곧바로 헬리오시티 단지 내 상가가 위치해 있다. 이제 입주한지 6년이 넘은 헬리오시티는 상가 대부분이 공실이 없었고, 대기업 프랜차이즈를 비롯해 다양한 업종의 상점이 모두 들어차 있었다. 작년 말에 입주한 국내 최대 규모 대단지 아파트인 올림픽파크포레온 내 단지 상가가 현재까지도 1층 대로변의 목이 좋은 호실도 상당수가 공실 상태인 것보다는 훨씬 활성화돼 있었다.


헬

▲입주민과 함께 412동 내부 최고층 29층으로 올라가서 본 잠실 롯데월드 타워 전경. 임진영 기자

헬리오시티 입구에서 밖을 바라보면 잠실 롯데월드타워가 바로 눈에 들어올 정도로 단지는 잠실과도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 편에 속한다. 특히 헬리오시티의 입지적 특징은 송파구와 강남구 경계를 가르는 탄천과도 바로 맞붙어 있다는 점이다.


단지 서쪽변이 송파역과 붙어있어 역세권 입지가 강점이라면 동쪽변 동들은 탄천과 인접해 그만큼 강남과 지리적 거리가 가깝다. 탄천을 넘어 동부간선도로와 양재대로를 통해 바로 강남구로 진입이 가능해 잠실 생활권과 강남 생활권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이 같은 입지적 강점에 힘입어 2015년 일반분양 당시 평균 분양가가 전용 59㎡(24평)이 약 7억원, 84㎡(34평)이 9억원 수준에 분양됐는데 최근 실거래가는 59㎡가 26억5000만원, 84㎡는 거의 30억에 육박하는 29억9000만원을 기록했다. 6년만에 분양가에서 3~4배 가격이 뛴 셈이다.


즉 저소득 무주택 철거민을 위해 지어진 시영아파트가 재건축 이후 국민평형(국평)이 30억원에 달하는 고가 아파트가 된 것에는 그만큼 헬리오시티가 지닌 입지가 뒷받침 됐다는 분석이다.


헬

▲2018년에 입주한 3세대 신축아파트지만 헬리오시티는 하단부 대리석 마감이나 필로티 구조 시공이 돼어 있지 않아 저층부의 경우 실거주에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임진영 기자

다만 단지 내부는 고가 아파트라는 명색이 무색하게 고급화 된 부분이 눈에 띄진 않았다. 2010년대 이후 지어진 3세대 신축 아파트의 일반적인 건축 양식인 하단부 대리석 마감 처리도 되지 않았고, 저층부를 지상에서 띄우는 필로티 구조도 동에서 일부 부분에만 적용돼 있었다. 특히 일부 동들은 동 외벽 페인트 도색이 상당수 벗겨져 있어 새 아파트라는 느낌이 들지 않기도 했다.


그러나 만여 세대, 4만명이 거주하는 초거대단지답게 단지 내 곳곳에 설치된 휴게 시설과 수경 시설이 도심 내에서도 한적한 수목원에 온 듯한 느낌을 주게 했다. 단지 지하로는 수영장과 사우나 및 헬스장, 골프장 등 커뮤니티 시설이 갖춰져 있었다. 1만 세대가 거주하는 대단지인만큼 1만2602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시설도 지하에 광활하게 펼쳐져 있었다. 부지가 워낙 넓어 지하주차장은 마치 고속도로처럼 차가 다니는 도로가 커뮤니티 시설 및 자전거 도로, 인도까지 별도로 구분돼 있었다.


헬

▲헬리오시티 동 외벽에 페인트 도색이 벗겨져 있는 모습. 임진영 기자

특히 송파역 서쪽변 단지 입구와 동쪽변 탄천 쪽으로 길게 늘어선 단지 한가운데를 잇는 1km 길이의 파크밴드가 나 있고 양쪽으로 동들이 들어차 신도시를 연상케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단지 내 상가 C 부동산 공인중개소 대표는 “헬리오시티는 이전 시영아파트 시절 원주민들의 손바뀜이 많이 이뤄진 단지"라며 “재건축 사업이 워낙 지지부진하게 길어지면서 거주 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원주민들이 손을 털고 나갔고 그 빈자리를 인접한 강남구의 고소득층이 투자용으로 많이 사들였다"고 말했다.


헹

▲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1km 길이의 파크밴드 전경. 임진영 기자

J 부동산 공인중개소 대표는 “탄천을 건너 양재대로를 조금만 타면 바로 대치동 학원가로 들어갈 수 있어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이 하염없이 늦어지는 단지들에서 2010년대에 상당수 헬리오시티로 갈아탄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헬리오시티의 또 다른 강점은 교육 환경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대치동 학원가가 탄천 너머로 가까운 것과 더해 헬리오시티 북측변으로는 단지 내 수요를 단독으로 받고 있는 자체 학원가가 형성 중이다. 해누리초등학교와 가락초등학교가 단지 내에 위치해 있는 더블 초품아 입지로 통학 환경도 우수하다는 평가다.


단지 인근 G 부동산 공인중개소 대표는 “예전부터 대치동 수요 대체 단지 입지를 가지고 있다 보니, 아예 자체적으로 단지 주변으로 학원가가 발달하고 있다"며 “강남과 잠실 못지 않게 여기 단지 입시 결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헬리오시티는 현재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로 묶여 있어 거래가 쉽지 않다. C 공인중개소 대표는 “토허제 규제를 받다보니, 갭투자가 안 돼고 무조건 실거주를 해야 한다"며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 수요가 사실상 차단돼 있는 상황에서 국평 가격이 30억이다 보니 거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헬

▲헬리오시티 지하 내 지하주차장 도로와 커뮤니티 시설부 모습. 임진영 기자

그는 또 단지 내 고급화가 돼어 있지 않거나 외벽 도색 부실 등이 많다는 지적에 대해 “단지가 만 세대 가까운 대단지이다보니 공사비가 너무 치솟는 관계로 재건축 계약 당시 고급화를 못한 부분이 많았다"며 “입주 이후에도 단지가 워낙 크다 보니 일부 동에 관리가 소홀한 부분을 모두 체크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헬

▲헬리오시티 단지 북측에 자체 학원가가 형성돼 가고 있는 상황이다. 임진영 기자

또 “토허제로 묶이다 보니 거래가 뜨문뜨문 되기는 하는데 9.7 대책 발표 이후에 오히려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24평 최저가 매물이 대책 발표 전엔 26억었는데 현재는 26억5000만원으로 올랐고, 34평도 30억에서 31억으로 호가가 올랐다"고 귀띔했다.



임진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