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세탁기 전쟁 ④] ‘가전 거인’ 부상 중국, 글로벌 리더십 뽐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23 08:47

■ 중국 베이징 대형매장 현장 취재 (1)

애국소비·정부 소비진작책 힘입어 전체 판매량 37% 내수 소화

안정적 수익 창출·원가 경쟁력 양날개 삼아 해외진출 급속 확장

M&A·가성비·럭셔리 등 ‘삼각편대’ 전략 구사 글로벌 입지 구축

삼성 ‘초격차 정공법’ vs LG ‘볼륨존 확대’…K-가전 ‘이중과제’

하이얼·메이디·하이센스·TCL 등 중국 가전기업들이 전세계 세탁기 시장을 거세게 몰아부치고 있다. 아직 글로벌 가전 리더십을 구축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따라오지 못했지만 물량과 자본을 앞세운 공세의 세기와 속도는 갈수록 강해지고 빨라지고 있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도시바 가전사업부를 흡수하는 등 인수합병(M&A)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해외취재 지원을 받아 한국 가전기업의 '캐시카우'인 세탁기의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산 가전의 약진과 한국 브랜드에 대한 위협, 한국 가전기업의 대응 등 전반적인 상황 진단과 향후 전망을 분석·조명하는 해외기획 시리즈 '중국 세탁기의 글로벌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을 연재한다. 아울러 주요시장인 미국·일본에서 한·중 세탁기 진출상과 현지기업들의 방어 움직임도 소개한다. <편집자주>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가전 매장에서 한 소비자가 직원으로부터 하이센스 세탁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 김윤호 기자.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가전 매장에서 한 소비자가 직원으로부터 하이센스 세탁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 김윤호 기자.

[베이징(중국)=김윤호 기자] 글로벌 가전 시장의 구도가 바뀌고 있다. 한때 '값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제품 세계공장'으로 불리던 중국 가전업체들이 이제는 기술 중심 기업으로 변신해 삼성·LG로 대표되는 한국가전 기업의 아성을 흔들고 있다.



특히 세탁기 분야에서 하이얼·메이디를 필두로 샤오미·TCL·하이센스 등 '메이드인 차이나 빅5'는 막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 정책 지원을 무기로 글로벌 리더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中 내수·정책·문화가 키운 '세탁기 굴기'

23일 시장조사업체 모더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올해 중국 세탁기 시장 규모는 약 25조원으로, 글로벌 시장(88조원)의 약 30%를 차지한다. 지난해 중국의 세탁기 생산량은 1억1737만대로, 이 가운데 4297만대(36.6%)가 내수 판매로 소화됐다. 이는 전년(2023년) 대비 7.3% 증가한 수치로, 소매액 기준으로는 약 20조원에 이른다.




이처럼 압도적인 내수 기반은 중국 기업들에 안정적 수익원이자 원가 경쟁력을 키우는 훈련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정책도 차이나 가전 브랜드의 성장에 가속도를 붙인다. 소비진작책인 '이구환신(以舊換新)'을 통해 노후 가전을 친환경·스마트 제품으로 교체하면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내수 확대와 기술 업그레이드를 동시에 유도하고 있다.


베이징의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은 소비자들에게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 프리미엄 제품을 사도록 유도해 기업들의 연구개발(R&D)과 대량생산을 뒷받침하는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궈차오(國潮·애국소비)' 트렌드가 더해지며 중국 브랜드에 충성도 높은 고객층이 형성됐다. 전문가들은 “궈차오 열풍은 중국 기업들의 성장에 날개를 달아주며 내수 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축적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시장, '삼각 공세'로 흔든다

메이디의 프리미엄 브랜드 '콜모'의 세탁기가 중국 가전매장에 전시돼 있는 모습. 사진 = 김윤호 기자.

▲메이디의 프리미엄 브랜드 '콜모'의 세탁기가 중국 가전매장에 전시돼 있는 모습. 사진 = 김윤호 기자.

이같은 든든한 내수 기반을 토대로 중국 가전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삼각편대 공세'를 펼치고 있다. 삼각편대 공세는 △M&A를 통한 프리미엄 진입 △가성비·신흥국 집중 공략 △럭셔리 브랜드 창출 등을 말한다.


하이얼은 뉴질랜드 피셔앤페이클(2012), 미국 GE 가전(2016), 이탈리아 캔디(2019) 등을 인수하며 현지 유통망과 브랜드 신뢰를 확보했다. 이후 '산이냐오'라는 IoT 플랫폼을 이식,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사용자를 자사 생태계에 묶어두는 전략을 전개 중이다.


샤오미·TCL·하이센스는 '신흥국 맞춤형' 전략을 강화했다. 샤오미는 AIoT(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기술) 생태계와 연동되는 가성비 세탁기를 앞세워 동남아 시장에서 세를 넓혔고, TCL·하이센스는 대용량·에너지 효율 제품으로 중동·아프리카를 집중 공략했다.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하이얼과 메이디가 각각 '카사르테', '콜모'라는 럭셔리 브랜드를 선보였다. 카사르테는 지난해 매출이 20% 크게 신장하며 프리미엄 시장 입지를, 콜모는 AI 통합·혁신 디자인을 앞세워 글로벌 고급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가전업계는 “중국 가전이 이제 단순 제조를 넘어 브랜드를 '창조'하는 단계에 진입했다"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삼성 '정공법' vs LG '볼륨존 확대'

메이드인 차이나 가전의 공세에 맞서 한국 가전기업들은 상반된 전략으로 적극 대응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 생태계를 축으로 '프리미엄 리더십'를 확대하고 있다. AI 세탁 최적화, 음성 제어 등 차별화 기술을 통해 “중국이 쉽게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보다 유연한 노선을 취하고 있다. 중국 스카이워스와 합작개발생산(JDM)을 도입해 유럽 중가 시장을 겨냥한 세탁기를 공동생산해 LG 브랜드로 판매한다. 가격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1위를 수성하기 위한 외형 확장으로 업계는 풀이한다.


결국, 차이나 세탁기의 위협에 삼성은 '정공법'을, LG는 '볼륨존 확대'라는 서로 다른 생존전략을 채택한 셈이다.


중국 세탁기 산업의 부상은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정책·기술·브랜드·소비문화가 맞물린 입체적 도전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 가전기업들은 프리미엄 초격차를 지키면서 동시에 중저가 시장 압박을 방어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가전의 속도를 과소평가할 경우 프리미엄 시장마저 내줄 수 있다"고 지적하며, “AI 혁신 강화,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확장, 브랜드 가치 제고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결국 삼성과 LG의 대응은 단순한 개별기업의 시장 방어 차원을 넘어 K-가전의 글로벌 리더십 유지와 국가산업 생존 전략과 직결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됐습니다.



김윤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