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웹3블록체인협회(KWBA)와 홍콩 기반 We3 Harbour(W3H)가 아시아 Web3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 기관은 26일 서울 드림플러스에서 공동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고, 정책 제안, 산업 교육, 국제 협력 확대를 주요 목표로 하는 업무협약(SOC)을 체결했다.
이번 행사에는 HBAR·웹3하버 창립 멤버 프로토콜인 '헤데라(HBAR)',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핵심 사업으로 하는 미국 금융 서비스 기업인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Nasdaq: GLXY)', 디파이와 자본시장을 연결하는 오라클 플랫폼 '체인링크(Chainlink)', 디지털 자산 시장 감시·리스크 관리 솔루션 업체인 '솔리더스랩'(Solidus Labs), 디지털 자산 자문사인 '클라리언트 어드바이저리(Clarient Advisory)', KWBA 회원사이자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트론DAO(Tron DAO)' 등 글로벌 주요 Web3 기업 관계자를 포함한 10여 명 이상의 업계 리더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한국이 아시아 Web3 거버넌스 논의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국, 홍콩을 비롯한 아태 지역 주요 시장의 규제 환경과 정책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W3H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책 등 새로운 규제 움직임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참석한 글로벌 Web3 기업들은 한국의 규제 변화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열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며, 산업 발전의 방향이 현대적이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양 기관은 향후 로컬 어드보커시 워킹그룹(Local Advocacy Working Group)을 출범해 한국 정부 및 전통 금융기관과 직접 소통하며 정책 제안언, 업계 교육, 국경 간 협력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마치 금속처럼 단단한 신뢰 위에 구축되는 협력의 토대이며, 아시아 Web3 생태계가 지속가능하게 성장하기 위한 몽석 같은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한국웹3블록체인협회 조원희 회장은 “Web3 산업은 이제 투기적 자산을 넘어 신뢰 기반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 계층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한국이 글로벌Web3 담론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아시아 생태계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W3H 제프리 츄이 부사장 겸 헤데라 재단 아시아태평양 생태계 총괄은 “한국은 글로벌 Web3 시장 유동성의 핵심 전략 거점"이라고 평가했으며, 갤럭시 디지털 아시아 최고운영책임자(COO)이자 W3H 자문위원인 존 카힐은 “Web3의 지속적인 성장은 강력한 국제 협력에 달려 있다"며 “오늘의 대화는 협력의 성과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