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첫 중국기업 투자유치 성과...“이차전지 국제거점 도약 발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26 21:09

종루이코리아와 600억대 이차전지 투자유치 협약 체결
평택 오성 외투단지에 생산시설 설치...150명 신규 고용
도, 중국의 대한(對韓) 투자유치 신호탄 될 가능성 전망

경기도

▲26일 오후 난징 더지플라자에서 열린 종루이코리아 이차전지 투자협약 체결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경기도가 민선8기 들어 처음으로 중국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며 이차전지 산업 국제거점 도약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중국을 방문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6일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중국 종루이전자와 한국 케이엔에스가 합작해 설립한 종루이코리아와 600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도가 미국·유럽·일본에 이어 중국 자본까지 끌어들인 첫 사례로 김 지사가 강조해온 '임기 내 100조 투자유치' 목표 달성에 실질적인 성과를 더했다는 평가다.



투자 내용은 평택 오성 외국인투자단지 내 2만1200㎡ 부지에 이차전지 핵심 부품 생산시설을 설립하는 것이다.


종루이코리아는 약 600억원을 투입해 '탑 캡 어셈블리(Top Cap Assembly)' 생산라인을 구축하고내년 초 착공을 시작해 같은 해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준공 후에는 150명의 신규 고용 창출과 함께 연간 약 500억원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 고객사로는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전기차 기업들이 거론된다.


김 지사는 이번 협약 체결식에서 “임기 내 100조 투자유치를 약속했는데 내달 쯤이면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며 “특히 이번 투자유치가 첨단산업인 이차전지 분야에서 중국 기업과 함께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26일 오후 난징 더지플라자에서 열린 종루이코리아 이차전지 투자협약 체결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종루이코리아 송형호 대표가 협약서에 서명하고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제공=경기도

경기도

▲26일 오후 난징 더지플라자에서 열린 종루이코리아 이차전지 투자협약 체결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있다 제공=경기도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는 종루이코리아가 안정적으로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종루이전자 옌팅주 부사장은 “이번 투자는 시작일 뿐"이라며 “향후 더 큰 규모의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치엔정 영업부사장도 “오늘 협약은 단순한 MOU 체결을 넘어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 경제협력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번 협약은 최근 수년간 경색됐던 한중 경제 협력 관계가 정상화 궤도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지난 정부 3년간 글로벌 불확실성과 외교적 긴장 속에서 중국 기업의 국내 투자는 사실상 중단된 상태였으나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가 개선되면서 경기도가 중국 자본 유치에 성공한 것이다.


도는 이미 대한민국 이차전지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이차전지 관련 사업체 3293개 중 1073개(32.6%)가 도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종사자 수는 3만854명으로 전국의 18.7%를 차지해 모두 1위를 기록했다.


도가 '대한민국 이차전지 산업의 심장'으로 불리는 이유다.


이차전지는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 기기 등 미래 신산업의 핵심 동력원으로 특히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 기업이 국내에서 부품 공급망을 공동 확장하는 것은 산업 안정성과 국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경기도가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재편의 중심에서 국제적 거점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해외 투자를 적극 유치해 첨단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의 첫 중국 기업 투자유치는 단순한 양해각서를 넘어 실질적 투자 집행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송인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