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50%·보안장비 99% 재가동…“서비스 복구 총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28 15:19

이재명 대통령, 비상대책회의 주재
구조적 문제해결 솔루션 보고 주문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일부분 운영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 옮기는 소방대원들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소화수조로 옮기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26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각종 정부서비스가 마비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화재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은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가동하고 주말 동안 '강행군'하는 등 조속한 서비스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관련 비상대책회의를 주재, 정부 시스템 복구 및 가동을 위해 관계부처의 역량 집중을 주문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회의에 비서실장과 국가안보실장 등이 참석했고, 김상호 국가위기관리센터장 등이 상황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가 주요 정보시설 화재로 걱정과 불편을 끼친 것에 우려를 표했다. 화재로 인한 장애·복구 현황을 숨김없이 설명하는 소통체계 구축으로 궁금증과 애로사항을 해소하겠다는 점도 약속했다.



정부 시스템 이용 차질로 생기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안내할 것을 지시했고, 납세를 비롯한 행정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국민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챙기라는 당부도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2023년 전산망 장애 사태 이후 운영체계 이중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관련 조치를 아울러 지시했다. 재발방지 대책 수립과 거버넌스 정비 등이 담긴 구조적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하라는 의미다.




소방·경찰당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오전부터 현장 감식을 진행했다. 이번 사고는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인해 내부 온도가 상승했고, 이로인해 항온장치가 작동을 멈추면서 피해가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범'으로 지목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2014년 8월 납품된 것으로, 사용 연한을 1년 이상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배터리 이동 과정 내 작업자의 과실 유무 등도 언급되고 있다.


◇네트워크·보안 장비 재가동 박차…일부 서비스 재개


소방청은 27일 오후 6시쯤 화재 진압을 완료했다. 이후 복구 노력의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7시 기준 국정자원 대전 본원 내 네트워크 장비는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는 99% 이상(767대 중 763대) 재가동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안정적인 전산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이날 오전 5시30분 복구를 마쳤고, 통신·보안 인프라 가동이 완료되면 시스템 551개를 재가동하면서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뤄지는지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국정자원은 서버 등 전산장비에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목적으로 이들 시스템 가동을 멈춘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24 △국민신문고 △온나라시스템 △인터넷 우체국 △우체국 예금·보험을 비롯한 시스템이 마비됐다.


국정자원에 장비와 시스템을 공급했거나 관리를 맡은 기업 관계자들도 투입되면서 복구 역량이 커졌으나, 화재로 직격탄을 맞은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서 담당하던 시스템 96개의 복구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조폐공사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재해복구(DR)체계로 전환했다. DR체계 운영시에는 모바일 신분증 신규·재발급,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비롯한 일부 신분증의 금융거래 관련 제출 기능이 제한된다.


민간앱(삼성월렛·네이버·토스·NH올원뱅크·카카오뱅크·KB스타뱅킹)으로 발급받은 사용자는 신분증 종류와 무관하게 금융거래 관련 제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강유정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2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날 오전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긴급비상대책회의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정치권에선 책임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전날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어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힘은 “이 모든 사안에 대해 국정 최고 책임자인 이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며 “책임자인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관계자들을 문책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이태원 참사 직후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의 책임을 물은 것과 유사한 행보다.


반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논의된 바가 없다"며 “지금은 빠른 대응과 복구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