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기간 스마트폰 ‘정주행’, 목디스크 만난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30 18:20

■연휴 기간 목·허리 건강 수칙

비딱한·고정된·구부정 '3자세', 근골격 통증 유발·만성화 주범

허리 펴고 화면과 눈높이 맞춰야…스마트폰은 최소 30㎝ 유지

바른세상병원

명절 연휴에 그동안 미뤄뒀던 드라마 시리즈나 예능프로그램을 '정주행' 하려는 사람들은 근골격계 질환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화면을 바라보는 것은 목, 어깨, 허리 등 근골격계 건강에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TV 모니터를 볼 때 잘못된(비빡한, 고정된)자세로 오랫동안 집중하면 어깨 근육과 힘줄과 인대가 과도하게 긴장해 통증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이 근막통증증후군이다.


근막통증증후군이 생기면 근육의 특정 부위(통증 유발점)를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깊고 쑤시며 타는 듯한 불편감이 나타나 일상생활이 어렵게 된다. 통증은 해당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까지 퍼지는 특징도 있다.



허리 또한 잘못된 자세에 특히 취약하다. 척추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는 충격을 흡수하는 수핵을 질긴 섬유가 감싸고 있어 척추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준다. 그러나 구부정하거나 비딱한 자세를 장시간 지속하면 디스크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손상이나 퇴행이 빨라질 수 있다.


이 같은 증상은 일시적인 경우 적절한 대증요법과 휴식만으로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만성화로 진행하면 치료가 쉽지 않다. 전신 통증과 수면 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어 조기 치료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근막통증증후군은 X-레이나 MRI, CT 등 영상 검사로는 확인이 어렵다. 전문의가 문진과 촉진으로 진단하고 통증 유발 부위를 찾아내 치료해야 한다.




구부정하게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목에 특히 치명적이다. 자신도 모르게 고개가 점점 아래로 향하게 되면서 '거북목증후군'이 생긴다. C자형 목뼈가 구부정한 자세로 인해 일자형 또는 역 C자형으로 변형되는 상태를 말한다.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장 이학선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이런 상태가 오래 가면 목이 몸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목과 어깨 근육에 과도한 긴장이 지속되고, 어깨 통증과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심한 경우, 목디스크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효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