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경주 회의, 한미·한중·미중 회담 연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악수하며 대화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ekn.kr/mnt/file_m/202510/news-p.v1.20250921.157208c8be674e75a61bd79da0d5cb78_P1.pn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악수하며 대화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유엔총회 무대를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연휴 동안 정국 구상에 돌입한다.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미국·중국 정상 참석 가능성과 북핵 문제, 한미 통상 협상이 동시에 맞물린 외교·경제의 분수령이다. 국내 정치 구도와 국제 질서가 교차하는 이번 회의에서 대통령이 어떤 해법을 제시할지가 향후 국정 운영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동반 방한 가능성이 커지면서,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이재명 대통령이 내세운 '가교론'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11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한미는 APEC 정상회의 계기에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양자회담을 경주에서 여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시진핑 주석 역시 방한 기간 내내 경주에 머물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중 정상회담과 미중 정상회담 또한 경주에서 연쇄 개최될 전망이다. 당초 중국 측은 서울 신라호텔 투숙을 검토했지만 이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후 첫 방한, 시 주석의 11년 만의 방한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할 때 애초 회담 장소는 격식을 갖출 수 있는 서울이 유력했다. 국빈 방문 형식까지 검토됐지만, 경주 개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외교 당국은 국빈 의전을 축소·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구체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아, 상황에 따라 한미·미중 정상회담 개최지가 바뀔 가능성도 남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내세우는 '가교 국가' 전략을 본격적으로 시험할 무대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공개된 미국 타임지 인터뷰에서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기조를 부정하며, 한국이 미·중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중국과의 협력도 병행해 양국 관계 악화를 막는 중재자가 되겠다는 구상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미·중 정상이 이번 한국 회동을 계기로 '관세 전쟁'과 반도체·희토류 등 상호 수출 통제 문제, 아태 지역의 군사적 긴장 가능성 등에 일정 수준 타협점을 찾을지가 주목된다. 최근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협상에서 개발도상국 특혜를 내려놓으면서,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긍정적 기류가 조성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한국에서의 대화가 미·중 갈등 완화로 이어진다면, 한미·한중 관계 관리에도 숨통이 트이고 결과적으로 한국의 외교적 운신 폭을 넓힐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만 이번 APEC 정상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기회의 장인 동시에 '시험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을 두고 미·중 양측의 압박이 동시에 거세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양국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대미 투자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 내년 APEC 의장국인 중국 역시 한중 간 우호협력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강화되는 한미 공조를 견제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순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어떤 정상회담이 먼저 열리느냐에 따라 이후 회담의 의제와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예컨대 한미 정상회담이 먼저 개최돼 '한미동맹 현대화'와 같은 안보 협력 사안 속에 중국 견제 요소가 포함된다면, 중국은 이를 의식해 즉각 대응에 나설 수 있다. 특히 예측 불가한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고려하면, 회담장에서 중국을 직접 겨냥한 발언이 돌발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중국은 미국을 향해 불쾌감을 드러내는 동시에, 최근 관세 협상 과정에서 불거진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 등 양국 간 갈등 현안을 활용해 한국을 자국 쪽으로 끌어들이려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17일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에게 “일방적 괴롭힘이 횡행하는 정세 속에서 무역 보호주의에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역 보호주의'는 중국이 미국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비판과 견제의 의미를 담아 사용하는 대표적인 외교적 표현이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역시 지난 16일자 사설에서 “한중 양국이 이번 APEC에서 보호주의 반대 목소리를 함께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