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해결돼도 弱달러 추세전환 어려워”

▲미 국회의사당(사진=로이터/연합)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사태가 2일(현지시간) 이틀째를 맞은 가운데 미 달러화가 셧다운 기간 동안 약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프리스티지 이코노믹스의 제이슨 셴커 회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셧다운은 달러화의 단기 하락 위험을 가중시킨다"고 주장했다. 그는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환율 예측가들 중에서 2분기 연속 1위를 이어왔다.
블룸버그 달러 현물지수는 올 들어 8% 넘게 하락했는데 셴커 회장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셴커 회장은 또 “셧다운 사태가 해결되면 달러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장기화된 달러 약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유로화가 강세를 보여 달러/유로 환율이 현재 유로당 1.17달러에서 올 연말 1.19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엔화 환율의 경우 달러당 147엔에서 145엔으로 하락(엔화 강세)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는 이어 “외환시장은 셧다운과 연관된 미국의 정치적 리스크로 인한 변동성에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셴커 회장은 또 셧다운 사태로 9월 고용보고서·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포함한 각종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될 수 있어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셧다운이 장기화할 경우 연준은 이달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주요 경제지표를 반영하지 못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
셴커 회장은 “셧다운이 데이터 발표에 영향을 미치자 연준 위원들의 발언은 통화정책 향방을 평가하는 데 더 중요해질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연준 위원들의 최근 발언은 엇갈렸다. 이날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에서 열린 질의응답에서 “인플레이션 위험이 실업률 상승의 위협보다 더 두드러져 추가 금리인하에 신중할 것"이라며 “정책이 다소 제한적인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꼽히는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는 최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경제가 무너지거나 노동시장이 붕괴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면서도 “거대한 재앙이 닥치기 전에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둘기파로 꼽히는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최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경제 지표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반등했다며 “이는 관세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분야에서 인플레이션이 지속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우려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을 계기로 대규모 해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이날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대부분 정치 사기에 불과한 여러 '민주당 기관' 중 어떤 것을 삭감하고, 그 삭감이 일시적인지 영구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권고를 듣기 위해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과 회의를 한다"며 “급진 좌파 민주당이 나에게 이런 전례 없는 기회를 주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고 적었다.
이어 “그들은 어리석은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공무원 대량 해고는) 조용하고 빠르게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싶은 그들의 방식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여야 정치권의 격렬한 대치 또한 이어지고 있다. NBC 방송은 “셧다운이 이틀째 지속되면서 어느 쪽도 양보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