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희망퇴직…세븐일레븐, 허리띠 조여도 적자 해소 ‘첩첩산중’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0.20 14:16

2년 연속 희망퇴직…올해 일반 사원 나이·직급 확대

미니스톱 인수 시너지 효과 無…수년째 ‘적자 수렁’

체질개선 ‘진행형’…저수익 점포정리·ATM 사업매각

서울 종로구 소재 세븐일레븐 특화 점포 '뉴웨이브종각점' 내부 전경. 사진=코리아세븐

▲서울 종로구 소재 세븐일레븐 특화 점포 '뉴웨이브종각점' 내부 전경. 사진=코리아세븐

편의점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이 2년 연속 희망퇴직을 단행하며 흑자 전환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섣부른 외형 확대 실책 여파로 수 년 째 적자의 늪에 빠진 가운데, 수익 개선을 위해 지난해보다 퇴직 적용 폭까지 더 넓혀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이다.




2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리아세븐은 내부적으로 희망퇴직 시행과 관련한 공지를 내린 후 오는 27일까지 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지난해 10월 1988년 법인 설립 이래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단행한 데 이어 1년 만에 또 다시 인력 감축에 나선 것이다.


이번 희망퇴직 대상을 살펴보면 사원급은 만 40세 이상이거나 현 직급 8년차 이상, 간부급은 만 45세 이상 또는 직급 10년차 이상이다. 일반 사원급과 간부급 각각 위로금 명목으로 기본급 20개월분, 24개월분을 지급한다. 공통적으로 1000만원의 취업지원금을 제공하며, 대학생 자녀가 있을 시 1인당 1000만원, 최대 2명까지 학자금을 추가 지원한다.



코리아세븐 관계자는 “희망퇴직 적용 기준을 좀 더 넓히면 좋겠다는 의견을 반영해 간부 사원과 일반 사원으로 나눴으며, 간부 사원급은 지난해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했다"면서 “일반 사원은 나이와 직급의 적용 기준을 조금 더 낮춰 희망자 수용 범위를 넓혔다. 희망하지 않을 시 별도로 지원하지 않으면 될 부분"이라고 말했다.


코리아세븐이 2년 연속 인력 구조조정 고삐를 늦추지 않는 이유는 전체적인 사업 규모와 인력 구조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수 년째 적자 상태인 코리아세븐은 희망퇴직을 비롯해 최근 몇 년 간 고강도 체질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




코리아세븐의 연간 영업손실은 2022년 124억원, 2023년 641억원, 지난해 844억원으로 최근 3년 간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나마 올 상반기(1~6월) 손실 규모는 4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50억원 줄어든 것은 위안이 된다.


코리아세븐이 적자 수렁에 빠지게 된 원인으로는 사실상 실패한 외형 확장 전략이 꼽힌다. 시장 지배력 확대를 목적으로 코리아세븐은 2022년 한국미니스톱을 인수했지만, 아직 기대만큼의 시너지 효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3월 통합 작업을 마무리했으나 여전히 적자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코리아세븐은 주력 사업인 세븐일레븐을 중심으로 고수익 중심의 사업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기적으로 매출 타격이 예상되더라도 저수익 점포를 쳐내면서 2022년 1만4265곳이던 세븐일레븐 매장 수도 지난해 1만2152곳까지 줄였다.


올 2월에는 비핵심 사업이던 현금인출기(ATM) 사업부를 매각했으며, 뉴웨이브 등 특화 점포 확대·자체 브랜드(PB) 상품 강화 등을 적극 추진하는 배경도 수익 개선과 무관치 않다.


코리아세븐 관계자는 “그동안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고강도 노력으로 실적 개선세가 나타나는 과정 속 체질개선은 현재진행중"이라며 “조직건전성 개선을 포함한 경영 구조 재편은 수익중심의 안정적 사업기반 확보를 위한 주요 과제"라고 설명했다.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