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장관, 美 관세협상 막바지에 ‘에너지차르’ 만난 이유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0.23 16:41

버검 내무부장관 겸 국가에너지위원장 21일 SNS에 게시물 올려
“미국 에너지 지배력 위해 세계 에너지 지도자들과 좋은 대화 나눠”
미국 에너지분야 최고 실권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적극 지지
관세협상 기간에 만났다는 점에서 한국 긍정적 참여 방향으로 분석돼
기업 “건설 어려움 있지만, 저리 파이낸싱 된다면 사업참여 해볼 만”

1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더그 버검 미국 내무부장관 겸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과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더그 버검 장관 X 계정에 21일 게재

미국과 막바지 관세협상에 임하고 있는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의 '에너지차르'라 불리는 더그 버검 내무부장관 겸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을 만났다. 두 사람이 정확히 어떤 논의를 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버검 장관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 비춰보면 한국이 관세협상 차원에서 프로젝트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버검 장관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1일 자신의 X 계정에 김정관 장관과 만난 사진을 게시했다.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사진과 악수를 나누는 사진 2장을 올렸다. 사진 속 김 장관과 버검 장관이 미소를 띠고 있다는 점을 볼때 대화가 나쁘지만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두 사람의 대화 주제는 에너지 분야로 추정된다. 버검 장관은 SNS에 “민주당 의원들이 일을 멈췄다고 우리도 일을 멈추진 않는다. 전 세계 에너지 지도자들과 미국의 에너지 지배력을 진전시키기 위해 어떻게 협력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적었다.



김 장관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함께 미국에서 막바지 관세협상을 벌이고 있다. 두 사람은 지난 16일 미국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협상을 벌인 바 있는데, 엿새만인 지난 22일 또 방미길에 올라 러트닉 장관과 구체적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김 장관과 버검 장관과의 대화는 먼저번 방미기간에 진행된 걸로 추정된다.


버검 장관은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차르(러시아어로 황제란 뜻)로 불린다. 그만큼 미국 에너지 분야에서 최고 실권자로 통한다. 그는 집권 초기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와 함께 '아름다운 석탄' 구호로 대표되는 화석연료 부활을 이끌었다.




최근 버검 장관은 알래스카주의 자원개발에 꽂혀 있다. 알래스카주는 엄청난 석유, 가스, 광물이 매장돼 있지만 그동안 환경보전을 위해 개발이 제한돼 왔다. 버검 장관은 “미국의 에너지 패권 장악과 중국과의 AI 경쟁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서는 알래스카의 에너지와 광물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버검 장관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매우 적극적이고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는 지난 6월초 알래스카에서 열린 에너지행사에 직접 참석해 LNG 프로젝트를 비롯해 자원개발을 적극 독려하기도 했다.


이러한 버검 장관을 김 장관이 관세협상을 위한 방미 기간에 만났다는 점에서 한국이 관세협상 차원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부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1340km 가스관 건설을 통해 남부 니키스키지역까지 운송해 이 지역에 구축하는 LNG터미널을 통해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당초 목표는 2030~2031년부터 연간 2000만톤을 수출하는 것이나, 최종투자결정이 늦어지면서 가동시기는 더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사업비는 당초 440억달러로 제시됐으나, 추운 날씨와 자연보호 대책 등을 감안하면 600억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비는 많지만, 한국과 일본, 대만이 지정학 갈등이 높은 중동산 LNG 대신 미국이 안전을 책임지는 알래스카 LNG를 짧은 기간에 수입할 수 있는 점이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당초 이 프로젝트에는 미국 에너지기업인 엑슨모빌, 코노코필립스 등이 참여했으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으로 사업에서 철수했다. 트럼프 정부는 이 사업을 관세협상을 벌이고 있는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에 떠넘기고 있다.


당연히 아시아 기업들도 참여를 꺼리고 있지만, 경제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지원이 이뤄진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참여가 거론되는 국내 한 기업의 관계자는 “추운 날씨와 자연보호 대책 등으로 어려운 환경이긴 하나 건설을 못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가장 큰 관건은 얼마나 저렴하게 파이낸싱(자금 조달)을 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마침 한국과 일본이 미국에 거액의 투자를 할 계획이다. 이 자금으로 프로젝트에 저리로 지원한다면 어느 정도 경제성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최대 에너지기업인 제라(JERA)와 대만 석유가스 공기업인 CPC가 참여 의사를 보였고, 한국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프로젝트 대주주인 글렌파네그룹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산업통상부 측은 김 장관과 버검 장관과의 대화 주제를 묻는 질문에 “관세협상 관련 내용을 자세하게 알려줄 순 없다"고 답했다.



윤병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