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간 스마트공장 폐쇄 현황
▲출처=김동아 의원실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
최근 10년 간 2조원 넘게 정부 지원을 받아 구축된 스마트 공장 가운데 1321곳이 폐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장이 문을 닫으면 관련 데이터는 대부분 시스템과 함께 폐기되는데, 이러한 폐쇄 스마트공장의 데이터를 정부가 공공데이터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사업이 시작된 지난 2014년부터 2조1410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아 구축된 스마트공장 가운데 1321여 곳이 폐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315건, 경남 187건, 경북 147건, 대구 94건, 부산 87건 순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기계장비업체 212곳, 자동차 부품 189곳, 금속가공 123곳, 전자부품 107곳, 식료품 101곳 순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공장과 함께 사라진 '데이터'다. 스마트공장에서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활용해 생산·품질·설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축적한다. 하지만 공장이 문을 닫으면 이러한 데이터는 대부분 시스템과 함께 폐기된다.
폐쇄된 스마트공장의 데이터를 AI가 학습하도록 하면 새로운 제조 혁신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업종의 중소기업들이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경영 효율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김동아 의원은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에서 스마트공장을 1만2000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AI 시대에 데이터는 석유보다 비싼 자원인데다 산업 제조데이터는 현장에서 구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사장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화 하고 AI 기업과 유사업종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이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