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정수 의장,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응원
도시건설·경제환경위원회도 현장 행보 강화
▲배정수 화성시의회 의장의 켐페인 모습 제공=화성시의회
화성=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성특례시의회(의장 배정수)가 시민 생활과 밀접한 현안을 직접 점검하고 지역경제와 문화·산업 발전에 힘을 보태는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배정수 시의회 의장은 지난 22일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는 릴레이 응원 캠페인에 동참하며 지역 간 상생과 미식산업의 발전을 응원했다.
이번 캠페인은 전라남도 주관으로 지난달 10일 김영록 도지사를 시작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릴레이 형식으로 참여 중이다.
시의회는 시흥시의회 오인열 의장의 추천을 받아 참여했다.
배정수 의장은 “미식 산업은 단순한 먹거리 산업이 아니라 지역 농수산업, 관광, 문화가 결합된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이번 박람회가 남도의 맛을 넘어 대한민국 미식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 의장은 이어 다음 참여자로 용인시의회 유진선 의장과 안양시의회 박준모 의장을 지목하며 캠페인 확산에 힘을 보탰다.
도시건설위원회, 시민 안전 위한 시설 점검 나서
▲화성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위원들이 화성동탄중앙도서관을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섰다 제공=화성시의회
한편 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지난 23일 화성동탄중앙도서관과 경부 직선화 상부공원 조성 현장을 찾아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점검에는 조오순 부위원장을 비롯해 김영수, 박진섭, 유재호, 오문섭 위원이 함께했다.
화성동탄중앙도서관은 도서관·기록관·박물관 기능을 융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라키비움'(Larchiveum)과 미디어갤러리, 강연·공연 공간 등을 갖춘 시민 복합지식센터로 조성되고 있다.
반송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0,625㎡ 규모로 건립됐으며 내달 3일 정식 개관을 앞두고 전기·소방·통신 등 안전시설에 대한 최종 점검이 진행 중이다.
이계철 위원장은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개관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며 “도시건설위원회는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계속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화성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위원들이 경부직선화 상부공원 현장 점검에 나섰다 제공=화성시의회
경부 직선화 상부공원은 오산동 일원 경부고속도로 동탄터널 상부 공간을 활용해 축구장 12배 규모(83541㎡, 길이 1.2km, 폭 약 100m)에 달하는 대형 공원으로 조성되고 있다.
현재 조경 구조물 공사와 식재 작업이 진행 중이며 2027년 1월 완공 예정이다.
이날 의원들은 공사 품질과 조경 설계의 완성도를 꼼꼼히 확인하고 화성시의 상징성과 차별성을 살릴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조오순 부위원장은 “경부 직선화 상부공원이 보타닉가든 화성과 연계된 새로운 관광명소가 되길 바란다"며 “공정 관리에 철저를 기해 시민이 자랑스러워할 공간으로 완성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제환경위원회, 백미리 마을어장 방문...어업 현실 직접 청취
▲화성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의 백미리 마을어장 방문 모습 제공=화성시의회
같은날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위원장 임채덕)는 제245회 임시회 주요업무보고를 마친 뒤 백미리 도리도 인근 마을 어장을 방문해 지역 어업 실태를 점검하고 어민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화성 해안지역 대표 어장인 백미리 일대의 어업자원과 환경 변화를 점검하고, 어민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임채덕 위원장과 이은진 부위원장, 김상수·배현경·정흥범·최은희 의원을 비롯해 경기수협 관계자, 화성시 해양수산과 담당 공무원, 인근 7개 어촌계장 등 30여 명이 함께했다.
위원들은 어장 관리 실태와 주요 어종의 자원 현황을 보고받은 뒤 해수 온도 상승과 해양환경 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 등 어민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임채덕 위원장은 “백미리 마을어장은 화성 해안의 역사와 공동체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라며 “어민들의 안정적 소득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어업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의회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화성시의회는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형 의정활동'을 강화해 지역경제 회복, 생활 인프라 확충,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