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경남 창원 향토기업 ‘몽고식품’
올해로 창립 120주년…진정한 간장 장인
몽고간장 알고보면…장남은 창원, 차남은 부천
간장으로 연매출 577억원…글로벌 30개국 수출
이 제품은 왜 떴을까? 이 매장은 왜 핫플레이스가 됐지? 전설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전설이 될 뻔한 식품업계 뒷이야기를 수집합니다. <편집자주>
▲몽고식품의 '송표 1905' 제품. 사진=몽고식품
◇ 몽고식품, 우물서 길어 올린 물로 간장 제조
국내 식품업계에도 무려 120년 동안 '한우물'만 판 기업이 있다. 1905년에 설립돼 올해로 설립 120주년을 맞은 간장 제조 기업 '몽고식품' 얘기다. 이름만 들으면 “몽고와 도대체 무슨 인연일까" 궁금할 법 하지만, 놀랍게도 몽고식품은 경남 창원에 위치한 향토기업이다. 몽고식품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위치한 우물 '몽고정'에서 따왔다.
경상남도의 지역문화재이기도 한 몽고정은 고려시대 몽골군이 주둔하며 파놓은 우물이다. 몽골군이 떠난 후에도 이곳의 깨끗한 물은 지역의 명물로 남았는데, 몽고식품은 이 우물물을 원수(原水)로 삼아 간장 제조를 시작했다. 다시 말해 '몽고정'은 몽고간장 제조의 시작점이자 원천이라 할 수 있다. 1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몽고식품의 몽고간장 제조 공장은 몽고정이 위치한 창원에만 있다. 몽고식품을 두고 “진짜 한우물만 팠다"고 말하는 이유다.
◇ 몽고간장은 두곳에서…원조 논란은 '글쎄'
사실 시장에는 '몽고식품'이 만든 몽고간장과 '몽고장유'가 만든 몽고간장이 각각 유통되고 있다. 경남 창원에 기반을 둔 몽고식품과 경기 부천에 위치한 몽고장유는 몽고식품 창업자인 故김흥구 사장의 장남과 차남 각각 운영하는 별도 법인으로 갈라졌다.
형제 사이에는 상표권 관련 소송이 진행된 바 있으나, 법원은 지난 2012년 두 법인 모두에게 몽고간장 상표를 공동 사용하도록 인정해줬다. 몽고간장을 둘러싼 소비자 혼란은 여전히 남아있으나, 두 법인 간 '원조 논란'은 지속되고 있지 않은 분위기다. 몽고장유의 몽고간장과 제품 이름이 같더라도, 제품 패키지는 다르다는 게 몽고식품 측의 설명이다. 현재 몽고식품은 3세 경영인인 김현승 대표와 그 부인인 황을경 대표의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몽고식품의 몽고간장. 사진제공=몽고식품
◇국내 넘어 세계로 가는 몽고간장
업계에 따르면 몽고식품은 국내 간장 시장에서 샘표와 대상에 이어 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기준 몽고식품의 시장 점유율은 9.4% 정도다. 몽고간장은 일반 소매점보다는 식당 등에 납품하는 업소용 제품의 판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몽고식품은 지난해 연매출 577억원, 영업이익 25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처음으로 매출 500억원 고지를 넘어섰고, 이후로도 쭉 '우상향' 하고 있다. 몽고간장은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30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몽고식품은 간장의 고급화에도 힘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라인이 '송표 1905'이다. '송표 1905 오리지널'은 국내 유일의 시더우드통(삼나무통)에서 숙성한 덧간장 제품으로 진하면서도 높은 감칠맛을 자랑한다. 패키지부터가 남다른 해당 제품은 백화점을 몽고간장의 120년 헤리티지를 표현하는 데 무게를 뒀고, 현대백화점 일부 지점과 온라인에서만 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