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 잠깨우는 지진재난문자 개편‥·피해가능성 낮은 지역 소리 안울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4 13:33

예상진도 2 지역엔 ‘안전안내문자’, 3 이상에 ‘긴급재난문자’
실시간 관측 기반 특보 신설, 최대 5초 빠른 경보로 대응 강화

지진으로 파괴된 도로. 픽사베이

▲지진으로 파괴된 도로. 픽사베이

지진 재난문자가 피해 가능성이 낮은 지역에는 스마트폰에서 큰 소리가 울리지 않도록 다음 달부터 개편된다. 지난 2월 7일 새벽 충주에서 발생한 규모 3.1 지진 당시, 규모 2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 177개 시·군·구에 긴급재난문자가 송출됐는데, 과한 경보라는 지적에서다.


대신 지진 발생 인근 지역에 지진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는 새로운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가 내년부터 운영된다.


연혁진 기상청 지진화산국장은 4일 정책 브리핑을 열고 지진 예보 서비스 개편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지진 규모 및 진도에 따른 송출 채널 및 송출 범위

▲지진 규모 및 진도에 따른 송출 채널 및 송출 범위. 자료= 기상청

지진조기경보는 지진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 이동 속도가 느리고 피해가 큰 S파가 도착하기 전에 먼저 감지되는 P파를 자동 분석해 지진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를 통해 S파가 도달하기 5~10초 전에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기상청은 다음달부터 지역별 진도에 따라 긴급재난과 안전안내로 지진 재난문자를 구분해 발송한다. 지난 2월 7일 충주 지진 당시 새벽 시간에 진앙에서 멀리 떨어져 지진 영향이 거의 없는 지역에까지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돼, 국민의 실제 체감과 동떨어진 문제가 발생했다.



그동안에는 최대 예상진도가 4 이상일 경우, 예상진도 2 이상인 모든 지역에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으나, 앞으로는 달라진다. 예상진도 3 이상 지역에는 기존처럼 경보음이 울리는 긴급재난문자를, 예상진도 2 지역에는 경보음이 없는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충주 지진 당시에는 177개 시·군·구에 긴급재난문자가 송출됐다. 그러나 변경된 제도를 적용받았다면 단 4곳에만 긴급재난문자가, 54개 지역에는 안전안내문자가 발송됐을 것으로 보인다.


지진해일 발생 시에는 현재의 지진해일 예측 기반 특보기준에 더해 실시간 관측값을 반영한 특보를 마련하고, 지진해일 변동 추세(상승‧하강‧종료)에 따라 주기적으로 보다 상세한 지진해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지진해일 높이 예상값이 특보기준에 미치지 않더라도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등, 지진해일 정보 전달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지진 조기경보는 지진 관측 후 통보까지 5~10초가 소요되는데, 지진 발생(진앙) 인근 지역에 지진 정보를 더 빠르게 알릴 수 있도록 개선한다. 이를 위해 원자력 발전소, 철도 등과 관련된 36개 국가 주요 시설에 시범 운영 중인 지진현장경보를 기존의 지진 조기경보와 병합한 새로운 조기경보체계를 내년에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최대 5초 빠른 지진 조기경보(3~5초 소요)를 구현함으로써, 흔들림을 먼저 느낀 후 경보를 받는 지진경보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