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액공제 종료 앞두고 설비 ‘속도전’… 단기 급증 불가피
태양광·BESS 설치 속도·가격 경쟁력, 전통 발전 압도
한화·HD현대·OCI, 미국 시장 공략 강화… 수익성 견조 전망
                                        
  ▲한화큐셀이 지난해 5월 완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태양광 발전소. 한화큐셀
미국 트럼프 정부가 재생에너지 지원을 줄이고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오히려 미국 재생에너지 설비는 단기간에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청정에너지 세액공제(ITC·PTC) 종료 전에 기업들이 서둘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시장의 전력 수요도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태양광 기업인 한화솔루션, HD현대에너지솔루션, OCI홀딩스 등이 당분간은 미국 시장에서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액공제 종료 내년 7월 전까지 설비 투자 앞당겨…“단기 급증할 것"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지난 3일 발간한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 보고서는 미국 재생에너지 설비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도 단기간에 대폭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미국 태양광(유틸리티 규모) 설치량이 약 12기가와트(GW)가 추가됐고, 하반기에 추가로 약 21GW 추가돼 올해 총 33GW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설치된 태양광 누적 설비용량과 비슷한 규모다.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NEF(BNEF)는 2026년까지의 풍력·태양광·BESS 설비 전망치를 10% 이상 상향 조정했다. BNEF는 “세액공제 만료 이전 착공을 서두르는 기업들의 경쟁으로, 2027년까지는 재생에너지 증설이 기록적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에경연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청정에너지 세제 혜택 축소와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기업들은 세액공제 종료(2026년 7월 착공 기준) 전에 자격을 확보하기 위해 설비 투자를 앞당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태양광·BESS 개발·운영 기업인 클린캐피털의 토머스 번 CEO는 “모든 기업이 빠른 속도로 대응 중이며, 일부는 아직 필요하지 않은 설비까지 선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클린캐피털은 올해 여름 약 2500만달러(약 340억원) 상당의 태양광 패널을 미리 구매해 캘리포니아 샌버나디노 창고에 보관 중이다.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제니퍼 그래넘홀름은 “향후 2년간은 설비 확대가 계속되겠지만, 정책 변화가 없다면 이후에는 둔화될 수 있다"며 단기 급증·중기 둔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보고서는 태양광과 BESS는 가스화력·원전보다 설치 기간이 짧고, 최근 패널 단가 하락으로 가격 경쟁력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화석연료 발전은 건설비가 급등하고 인허가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EIA 분석에 따르면, 풍력·태양광 발전 비중이 평균 이상인 22개 주 중 17곳의 6월 전기요금이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美 진출 한화솔루션·HD현대에너지솔루션·OCI홀딩스, 여전히 기회
미국 내 태양광 시장 확대로 한화솔루션, HD현대에너지솔루션, OCI홀딩스 등 국내 기업들도 당분간은 기회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은 조지아주 달턴·카터스빌 공장을 중심으로 미국 내 완전 통합형 태양광 공급망을 구축 중이다. 총 투자액은 약 25억달러(3조4000억원) 규모로, 모듈 생산능력은 8.4GW 수준이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전시회 'RE+ 2025'에서 미국시장용 N-Type TOPCon(고효율 태양광 셀) 모듈을 공개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애리조나주에 약 40메가와트(MW) 규모의 상업용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는 수주를 따냈다.
OCI홀딩스는 미국 텍사스 산안토니오에 위치한 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Mission Solar Energy)를 통해 약 2억6500만달러 규모의 셀 공장 건설에 나서 총 2GW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