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규제 속 초고가 아파트 ‘신고가 행진’…부동산 당국 ‘고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12 16:25

규제 이후 연말·연초 입주 앞둔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잠실 르엘 국평 40억 거래
잠실 기축단지 리센츠 국평도 규제 이후 35억 이상에 거래돼 평당 1억 거래 달성
강남 지역 신축 단지 공급 이어지면서 신축·구축 가리지 않고 가격 상승 ‘도미노’
“애당초 토허제 구역으로 규제 내성…대출 4억 못한다고 30억 아파트 못 사지 않아”
부동산 시장 최상단 가격 상승에 10·15 대책 실패 가능성…정부, 추가 규제 검토 중

ㅇ

▲서울 서초구 '디에이치 반포 라클라스' 정문 문주 전경. 이 단지 전용 59㎡(24평)가 지난 5일 37억5000만원에 팔리면서 평당 1.5억 거래를 달성했다. 현대건설

10·15 규제가 실질적으로 적용된 지난달 20일 이후에도 반포와 잠실 등 서울 핵심지역에서 신고가 거래가 지속되는 등 집값이 꿈틀대고 있다. 당국도 규제 이후에도 상황이 진정되지 않아 추가 규제를 고심하는 등 고심이 깊어지는 형국이다.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분석 결과 서울 송파구 신천동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전용면적 84㎡(34평) 24층 입주권이 지난달 29일 41억원에 실거래 됐다. 같은 신천동의 '잠실 르엘'도 이달 3일 84㎡ 입주권이 40억원(4층)에 팔렸다.


이들 두 단지는 각각 다음 달과 내년 1월에 입주를 앞둔 미준공 단지다. 아직 입주도 하지 않은 공사 중 단지가 나란히 30평대가 40억원이 넘는 가격에 손바뀜 되면서 '잠실 최신축 단지 국평 40억원' 시대를 연 셈이다.



잠실 기축 단지들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2008년에 입주한 잠실 리센츠 전용 84㎡(33평) 24층이 지난 5일 35억5000만원에 매매 계약서를 쓰면서 신고가를 기록했다. 81년에 입주해 45년차인 잠실 우성 1,2,3차 84㎡(31평)도 지난달 23일 33억9000만원에 최고가를 갈아치우면서 '잠실 구축 평당 1억 시대'를 다졌다.


반포에서도 규제 적용 이후 신고가가 나왔다. 2021년 6월에 입주한 반포 최신축 단지인 디에이치 반포 라클라스 전용 59㎡(24평) 32층이 지난 5일 37억5000만원에 팔리면서 평당 1.5억 거래를 달성했다.



특히 규제 적용 이후 반포와 잠실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는 것은 신축 공급에 따른 가격 엑셀레이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공급이 이뤄지면 가격이 안정화되는 것이 정상이지만, 강남 지역은 신축이 희소해 가격 상단을 뚫고 이어 준신축이나 기축 단지 가격도 따라 오르는 현상이 반복된다.


실제로 올 연말과 내년 초 잠실 지역에 오랜만에 들어서는 두 신축 단지인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와 잠실 르엘이 잠실 아파트 시세를 리딩하고 있는 형국이다. 반포에서도 현대건설이 반포주공 1단지 1·2·4주구를 재건축 하는 '디에이치 클래스트'가 2027년 11월 입주를 목표로 공사 중이고, 삼성물산이 3주구를 재건축 하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도 내년 8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특히 래미안 트리니원은 11일 일반분양을 실시해 230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에서 5만4631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238대1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일명 '30억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로또청약'으로 불리면서 청약 시장을 달궜다. 대출을 2억원으로 제한해 현금으로만 20억원 이상을 조달해야 하는 등 당국의 초강력 규제로 청약 결과가 부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일부 나왔지만 시장 현실은 전혀 달랐다.


래미안 원베일리 내 Y 부동산 공인중개소는 “애당초 반포나 잠실은 이번 규제 전에도 토허제가 적용돼 있던 지역이라 갭투자 금지 등 규제에 오래 전부터 내성이 형성돼 있고, 이번 대책 규제가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실수요 위주 시장"이라며 “강남에서 지난달 20일 이후(10·15 대책 규제 적용) 달라진 점은 대출이 최대 6억원 나오던 것이 2억원으로 줄어든 것 뿐인데 어짜피 20평대 소형 평수도 최소 30억원 이상인 지역에서 대출액이 4억원이 줄어든다고 살 사람이 못 사고 그러는 시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규제 이후에도 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자 당국도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강남 집값이 오르면 후속적으로 마용성(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등 서울 한강벨트 집값이 따라 오르고, 이는 서울 전역으로 퍼지는 풍선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강남에서 토허제와 대출 규제 강화가 효과가 없음이 드러나면 이는 마용성 지역으로도 퍼질 수 있다. 부동산 시장 최상단의 과열 현상이 도미노 효과를 일으켜 주택 시장 전체를 타오르게 만들 뇌관이 될 수 있다. 10·15 대책이 사실상 실패라는 판결이 내려질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추후 규제지역 조정 계획이 있나"라고 질의하자 묻자 “시장 상황이 워낙 가변적이라 검토할 여지가 있다"면서 “일부 지역에 대한 규제 확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해 추가 규제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임진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