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4조7861억원 기록해 5.8%↓
기초화학·첨단소재 적자 속 수익성 개선
롯데정밀화학 생산성 개선해 영업익 창출
▲전남 여수에 위치한 롯데케미칼 여수공장의 전경.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은 올해 연결 기준 3분기 잠정 영업손실 1326억 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적자폭을 축소했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은 4조7861억원으로 5.8% 감소했다.
기초화학 부문은 매출 3조 3833억 원과 영업손실 1225억 원의 실적을 냈다. 정기보수 종료로 일회성 비용을 제거하고, 원료가 하향 안정화로 스프레드가 개선되며 수익성이 높아졌다.
첨단소재는 매출액 1조222억 원과 영업이익 575억 원을 기록했다. 전방산업 수요가 감소하고 보수적 재고 운영 기조가 이어졌지만, 고부가 제품 판매가 늘어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자회사 롯데정밀화학은 매출액 4434억 원과 영업이익 276억 원을 기록했다. 염소계열 제품의 국제가 상승과 정기보수 종료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액 1437억 원, 영업손실 343억 원을 기록했다. 재고 조정과 생산성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객사 조정의 영향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4분기 기초화학 부문은 원료가 안정세가 예상되지만, 대외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수요 부진은 지속될 것으로 롯데케미칼은 전망했다. 첨단소재는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하는 4분기에는 정기보수 영향으로 판매량 감소가 예상된다.
롯데정밀화학은 전방산업 보합세 속에서도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원료가 강세와 전방산업 불확실성 등 어려운 외부환경이 예상되지만, AI용 고부가 회로박과 ESS용 전지박 등 전략적 판매 확대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중장기 경쟁력 확보 및 현금흐름 개선 위해 구조적인 사업 체질개선 활동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을 적극 대응하고 비핵심 자산 매각도 속도감 있게 적극 추진해 본원적 경쟁력 확보와 재무 안정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