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달러화(사진=로이터/연합)
미국 달러 지수가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달러 스마일' 이론을 고안한 한 전문가가 달러 가치의 약세 전망을 제기해 관심이 쏠린다.
11일(현지시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 선물은 99.31에 거래를 마감했다. 달러 인덱스는 이달 초 약 6개월 만에 100선을 돌파한 바 있다. 다만 올해 연초와 비교하면 약 7% 하락한 수준으로, 8년 만에 최악의 한 해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스티븐 젠 유리존 최고경영자(CEO)는 달러 가치가 최근 반등했지만 전반적인 약세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달러 인덱스가 추가로 13.5% 급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1월에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종료 시점은 2029년 1월로, 달러 가치의 하락세가 3년 넘게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다.
그는 “달러의 다음 큰 흐름은 하락세"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젠 CEO는 20년 전 달러 스마일 이론을 제시한 인물로 유명세를 떨쳤다. 이 이론은 경기 호황과 불황 양극단에서만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성장이 완만하거나 소폭 둔화될 때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것으로, 달러 곡선이 웃는 모양이 된다.
젠 CEO의 이번 달러 약세 전망은 달러 스마일 이론에서 비롯된다. 그는 “달러 가치가 올해 하락한 큰 이유는 달러기반 자산으로부터 자본이 이탈됐기 때문"이라며 “우린 여전히 미국 경제의 연착륙 여부를 보고 있다. 이럴 경우 세계 각국의 경제 성장률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제 성장률이 미국을 앞지를 것이란 전망이 더욱 유력해지고 있다"며 “유럽 성장률이 개선되고 있고 중국의 경쟁률은 여전히 높다"고 덧붙엿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해 2.8%에서 올해 2%로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유로존은 0.9%에서 1.2%로 성장하고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은 5%에서 4.8%로 소폭 둔화할 전망이다.
아울러 젠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공언했던 '미 제조업 부활'을 실현시키려면 달러 가치가 더욱 떨어져 비용이 감소돼야 한다"며 “달러를 포함한 기축통화에 대한 회피 심리가 확산하면서 금·비트코인 시세가 고공행진하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미국은 수년 간의 달러 재조정 단계에서 3회 혹은 4회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