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세계적 명문 ‘퍼듀대 송도캠퍼스’ 설립 논의 본격화
공과대학 학부과정 캠퍼스 설립, 공동연구 등 MOU 체결
AI,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 생태계 완성...선도도시로 도약
▲유정복 인천시장이 20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광역시-미국 퍼듀대학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디미트리오스 페룰리스 퍼듀대학교 부총장과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인천시
인천=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인천시가 세계적 공학 명문인 미국 퍼듀대학교(Purdue University)와 손잡고 송도에 공과대학 학부과정 캠퍼스와 첨단산업 연구개발(R&D)센터 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글로벌 대학과 지방정부가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직접 협력하는 형태로는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사례다.
인천이 'AI·반도체·항공우주'로 이어지는 차세대 혁신 축을 완성하며 글로벌 첨단산업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결정적 전환점이라는 평가이다.
시는 20일 제5회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컨펙스와 연계해 열린 IFEZ-퍼듀대 특별세션에서 퍼듀대와 '송도 공과대학 캠퍼스 설립 및 공동연구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 교류 수준을 넘어, 인천이 글로벌 공학 교육과 첨단산업 연구의 중심지로 나아가는 실질적인 첫 발걸음이다.
행사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은 퍼듀대와 함께 '2025 글로벌 AI-항공우주 혁신의 미래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며 인천을 세계가 주목하는 첨단기술 혁신 허브로 도약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심포지엄에는 AI, 반도체, 항공우주 등 3대 첨단산업 분야의 국제 연구협력 확대를 논의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퍼듀대, 인천에 'R&D 센터 설립 의향서(LOI)' 전달
이번 협약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퍼듀대가 송도에 첨단산업 연구개발(R&D)센터 설립 의향서(LOI)를 공식 전달했다는 점이다.
퍼듀대 디미트리오스 페룰리스(Dimitrios Peroulis) 부총장은 이날 직접 유 시장에게 LOI를 건네며 “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도시 인천과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학 역량을 갖춘 퍼듀대의 협력이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퍼듀대가 미국 본교의 연구 시스템과 AI·반도체·항공우주 등 핵심 연구 역량을 인천에 실질적으로 확장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은 것으로 향후 송도 캠퍼스 설립 논의에도 강력한 동력이 될 전망이다.
“AI·반도체·항공우주 혁신 삼각벨트 인천에 구축"
▲유정복 인천시장이 20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광역시-미국 퍼듀대학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디미트리오스 페룰리스 퍼듀대학교 부총장과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제공=인천시
이번 양해각서의 핵심 협력 계획은 △퍼듀대 공과대학 학부과정 송도 유치 △공동 교육과정 및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 개발 △반도체·AI·항공우주 기반 첨단산업 R&D 센터 설립 △교수·연구자 교류 및 글로벌 공학 인재 공동 양성 △국제 공동연구 및 기업 지원 플랫폼 구축 등이다.
시는 특히 퍼듀대의 공학 교육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업-학계-연구기관이 동시에 연결되는 글로벌 산학협력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대학 유치가 아니라, 인천을 세계 기술기업과 연구기관이 모여드는 '글로벌 혁신 테스트베드'로 재편하겠다는 전략이다.
유 시장, “글로벌 혁신 허브 인천… 미래산업 패러다임을 주도하겠다"
유 시장은 이번 협약을 “인천의 미래를 바꾸는 대역사"로 규정했다.
유 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세계적 명문 퍼듀대와의 협력은 인천이 글로벌 첨단산업 혁신 허브로 도약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와 바이오, 반도체·항공우주를 아우르는 다층적 혁신 산업 생태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유 시장은 그러면서 “인천에서 배우고 연구한 글로벌 인재들이 곧바로 산업 현장으로 진출하는 산·학·연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며 “송도가 대한민국을 넘어 아시아 최고 기술혁신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시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퍼듀대, '항공우주 명문'...우주비행사 27명 배출
▲유정복 인천시장이 20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광역시-미국 퍼듀대학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디미트리오스 페룰리스 퍼듀대학교 부총장과 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서를 교환하고있다 제공=인천시
1869년 미국 인디애나주에 설립된 퍼듀대는 공학 분야 세계적 명문으로 꼽힌다.
2026 QS 세계대학 순위 기준 미국 공립대학 9위, 항공우주공학 분야는 U.S. News & World Report 순위에서 전미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닐 암스트롱을 비롯해 총 27명의 우주비행사를 배출한 대학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퍼듀대의 교육·연구 시스템이 인천에 도입될 경우, 송도는 단기간에 세계 기술기업과 연구기관이 주목하는 첨단산업 중심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
인천, 글로벌 첨단도시로 '퀀텀점프' 전망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시는 △송도 퍼듀대 학부과정 유치 구체화 △교육시설 입지 검토 △인천형 R&D센터 모델 마련 △글로벌 항공우주·반도체 기업과의 연계 확대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인천이 강점으로 가진 바이오·K-바이오랩허브, 공항·항만 기반의 글로벌 네트워크, K-UAM 실증 인프라 등이 퍼듀대 연구 역량과 결합될 때 인천은 “아시아 최고의 첨단산업 도시"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오늘의 협약은 세계 최고의 혁신 도시 인천이 '글로벌 첨단산업 혁신 허브'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