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혁신파크계획안 국토부 승인절차 돌입…2026년 중앙계획기관 협의 예정
육 시장 “내년부터 속도전…춘천 미래산업 중심축 자리매김 목표”
김용찬 더존비즈온 기업도시추진단장 “주식 매각과 무관…사업은 계획대로 진행”
▲육동한 춘천시장은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춘천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은 최근 국토교통부의 국가승인 절차에 본격 돌입하며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고 했다. 박에스더 기자
춘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육동한 춘천시장은 “기업혁신파크는 춘천의 미래 산업전환과 신성장 동력을 좌우하는 핵심 프로젝트로, 어떤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고 계획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춘천시가 추진 중인 춘천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은 최근 국토교통부의 국가승인 절차에 본격 돌입하며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육 시장과 김용찬 더존비즈온 기업도시추진단장은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더존비즈온의 지분 매각을 둘러싼 우려에 대해 “사업 추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공식적으로 선을 그었다.
김 단장은 지분 매각 이슈와 관련해 “이번 지분 이동은 회사 경영의 안정적 구조조정을 위한 일환일 뿐, 기업혁신파크 사업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승인 절차에 맞춰 국토부와 강원특별자치도와의 협력을 긴밀히 이어가고 있으며, 더존비즈온은 PFV 설립과 사업 타당성 검증 등 준비 절차에 한 치의 차질도 없이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육 시장은 “근거 없는 오해와 억측은 시민들의 불안만 키울 뿐"이라며 “춘천시는 이번 사업을 미래 산업전환의 기회로 삼고 흔들림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춘천기업혁신파크 조감도. 제공=춘천시
춘천시에 따르면 시는 이미 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을 위한 주요 준비 절차를 상당 부분 마쳤다. 지난해 3월 국토교통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이후, 주민 의견 수렴과 관계 기관 협의, 환경영향평가 준비 등 법적 절차를 체계적으로 진행해왔다.
특히 시는 24일 통합개발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며 사업의 구체화 단계에 본격 진입했다. 이번 제출을 통해 중앙부처 협의, 보완 검토, 국가위원회 심의 등 종합 심사가 이어지게 되며, 승인 절차가 완료되면 사업구역 지정, 토지 보상 착수, 기반시설 공사 등 후속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춘천시는 2026년 승인 완료, 2027년 착공, 2033년 준공을 목표로 단계별 로드맵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춘천기업혁신파크는 BIO·AI·ICT 기반의 복합지식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산업, 의료·바이오, 연구·교육, 주거·문화 등이 결합된 미래형 기업도시 모델로 설계됐으며, 춘천의 미래 먹거리 산업과 첨단 연구·정주 환경을 결합한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핵심으로 한다.
▲육동한 춘천시장과 김용찬 더존비즈온 기업도시추진단장은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더존비즈온의 지분 매각을 둘러싼 우려에 대해 “사업 추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박에스더 기자
육 시장은 “이번 계획안 제출은 지난 9월 PFV 설립 이후 신속하게 진행된 성과이며, 관계 기관 협의와 환경영향평가, 주민의견 청취 등 필수 절차를 충실히 이행해 절차적 투명성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내달 예정된 사업 공청회와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 역시 시민 참여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찬 단장도 “더존비즈온은 핵심 사업자로서 끝까지 책임 있게 참여할 것"이라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모범적 기업도시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육 시장과 김 단장은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제기된 '사업 중단 가능성', '지분 매각으로 인한 좌초 우려' 등 주장에 대해 “모두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다.
육 시장은 “기업혁신파크는 이미 국가전략사업 체계 안에서 정식 절차를 밟고 있으며, 국토부 또한 춘천을 미래 핵심 산업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어떤 논란에도 흔들림 없이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