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업권, ‘과금’ 힘입어 몸집 불리기 가속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6 13:39

올해 분기당 정착지원금 1000억원 상회
‘1200%룰’ 등 도입 앞두고 영업력 확보

GA업계

▲법인보험대리점 소속 설계사들이 늘어나고 있다.[사진=퍼플렉시티]

법인보험대리점(GA)에 몸 담은 보험설계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기업들의 대형화가 가속화되고 제판분리(제조·판매 분리) 흐름 속에서 자회사형 GA도 많아진 까닭이다. 특히 스카우팅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보험GA협회에 따르면 올 3분기 설계사 500명 이상인 GA 72곳이 신고한 정착지원금 총합은 1050억원에 달했다. 정착지원금은 원수보험사 또는 타GA 소속 설계사 등을 영입하기 위해 지급하는 일종의 '이적료'다.


지난해 3~4분기에는 800억원대 초·중반이었으나 올해 들어 분기당 1000억원 수준으로 높아졌다. 국내 GA가 3000곳이 넘고, 신고된 금액만 집계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수치는 더욱 높을 가능성이 크다.




대형 GA 소속만 25만명…시장 내 존재감↑

올 상반기 기준 대형사 72곳의 소속 설계사(24만9496명)는 1년 만에 3만6642명(17.2%) 증가했다. 업계 1위 한화생명금융서비스(한금서)는 2만7000명 규모로, 지에이코리아·글로벌금융판매도 각각 1만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토대로 대형사들의 생명보험 수입수수료(4조5769억원)는 8516억원(22.9%), 손해보험의 경우 4조3810억원으로 8169억원(22.9%) 확대됐다.



중소형사를 합한 GA업권의 설계사수는 3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속설계사 보다 10만명 가량 많은 것으로, 업계에서는 GA 설계사수와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지난해말 1만6000명대였던 인카금융서비스의 설계사가 올해 2만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에이플러스에셋어드바이저도 5000명대 중반에서 7500명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내년 하반기 도입되는 '1200%룰'을 포함해 큰 틀의 제도 변화가 이뤄지는 것도 이같은 현상에 일조하고 있다. 이는 정착지원금과 시책을 합한 설계사 보상(1차년도 기준)이 월납 보험료의 12배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한 것으로, 시행 전후 '이적생'들의 소득이 달라질 수 있다.


2027년 설계사 수수료 4년·2029년 7년 분급 전환도 언급된다. 영업력 확대를 추진하는 GA와 '막차'를 타려는 설계사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초대형사·자회사형 GA 중심 양극화 우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형사 중에서도 초대형사에 쏠리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로 3분기 기업별 정착지원금을 보면 한금서가 12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피플라이프(34억원)·IFC그룹(33억원)·한화라이프랩(10억원)도 '큰 손'으로 분류됐다. 한금서는 1분기와 2분기에도 각각 200억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했다.


또한 에이플러스에셋(92억원)·굿리치(64억원)·인카금융(52억원)·지에이코리아(44억원)·삼성화재금융서비스보험대리점(38억원)·라이나원(38억원)을 비롯한 GA도 3분기 상위권에 들면서 초대형사와 자회사형 GA가 자본력을 토대로 상대적으로 많은 정착지원금을 쓰는 모습이 나타났다.


스카이블루에셋(75억원)·사랑모아금융서비스(45억원)·영진에셋(45억원)을 필두로 중위권 GA도 영입경쟁을 펼치고 있으나, 하위 20곳 중 10억원 이상 지출한 곳은 에이비에이금융서비스유한회사(21억원)가 유일했다.


이들 보다 자금력과 브랜드 파워가 약한 중소형 GA의 경쟁력 하락은 소비자 선택권 축소로 귀결될 위험이 있다. 원수사를 상대로 협상력이 강해진 대형사가 더 높은 수수료를 요구하는 경우 보험료도 인상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높은 정착지원금이 실적 압박으로 이어지면 금융소비자 보다 설계사에게 유리한 계약이 많아지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소비자보호를 강조하는 금융당국 기조상 관리 소홀에 따른 유지율 하락·승환계약 등 설계사 이직을 비롯한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