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생산손실 내고 협력사 생사기로 헤매
현대차 노조 소탐대실…‘안티 현대’ 확산▲현대차 노조 집회 모습. |
[에너지경제신문 김양혁 기자] 현대자동차 노조가 ‘소탐대실’ 덫에 걸렸다. 이는 ‘안티 현대’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촉매제가 됐다. 올해 임금협상에서 노조는 임금 인상을 얻은 반면 소비자 불신과 동종 협력업체 반목을 샀다. 일부 협력업체는 파업 유탄에 생사기로에 놓였고, 그 파장은 근로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됐다. 특히 평균 연봉 9000만원이 넘는 노조가 임금 때문에 벌인 장기파업은 국민에게 상대적 박탈감까지 안겨줬다.
◇ 24차례 파업…3개월간 특근 거부 = 현대차 노사는 올해 5월17일 임금협상 상견례를 시작해 5개월이 지난 10월14일 최종 타결에 이르렀다. 그 과정은 굴곡이 컸다. 27차례 협상에 파업만 24차례 이어졌다. 전면파업이 12년 만에 처음 등장했다. 주말 특근도 3개월가량 모두 12차례나 거부했다. 심지어 1차 잠정합의안은 조합원 78.05%의 반대로 부결됐다.
파업과 특근 거부로 생산에 차질이 생긴 규모 누계가 14만2000대에 3조1000억원 내외라고 한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노조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은 3조원을 넘어서 25년 파업 역사상 최대"라고 말했다.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조합원의 임금 손실 규모도 역대 가장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 협력업체 생사기로…양극화 심화 = 현대차에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는 직격탄을 맞았다. 일부 업체는 생사기로에 놓였다. 현대차는 재고 비용을 최소화하려고 부품을 적기에 납품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현대차 생산라인이 멈추면 협력사는 대체로 일손을 놓아야 한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에 납품하는 1차 부품 협력업체는 348개다. 이들 협력업체가 모기업 노조 파업으로 입은 총 매출 손실액은 1조4000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여기에 2, 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더욱 커진다. 2, 3차 협력업체는 총 5000곳이 넘는다.
그 바람에 모기업-협력기업 사이에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노무 관계자는 "평균 연봉이 1억원에 가까운 현대차 노조가 이기주의에 빠져 중소기업 근로자를 외면하지 말고 중소기업의 인건비·비용 절감 성과를 대기업이 전유하는 상황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노무 관계자는 "기업 성장과 경쟁력은 이제 협력기업과 공존에 맞물려 있는 만큼 기업과 노조의 사회적 책임이 더욱 커졌다"고 강조했다.
◇ 국민 비판 고조…‘안티 현대’ 확산 = 현대차 파업을 바라보는 국민은 차갑고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현대차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누리꾼은 포털 사이트 등에 상실감과 반감을 드러냈다. "파업 손실과 올린 임금이 차량 가격에 포함될 것"이라며 "현대차를 절대 사지 않겠다"는 안티 현대 목청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국민 마음이 너무 많이 돌아서 현대차는 내수 점유율 하락에서 헤어나기 어려울 것"이란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현대차는 1987년 노조 설립 이래 29년간 파업이 없는 해는 4년(1994년, 2009∼2011년)에 불과하다. 3년 연속 무파업은 합리적 노선을 견지한 이경훈 위원장 시절에 진행됐다. 반면 금속노조 위원장 출신 박유기 현 위원장은 ‘강성 중 강성’으로 꼽힌다. 내년에는 임금 인상은 물론 수십 개에 달하는 단체협약 신설, 개정 요구안을 놓고 협상을 벌인다. 노사가 또 충돌할 것이란 우려가 벌써부터 흘러나오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