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만에 ‘천스닥’ 시대 열렸다…“중소형株로 머니무브”
코스닥지수가 20년만에 장중 1000을 돌파하면서 추가로 상승세를 이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중소형주 강세를 이끌면서 코스닥지수가 1000선에 안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대형주 쏠림 현상과 유동성 장세의 수혜를 입는 종목이 일부 종목에 국한되는 점은 다소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5.30포인트(-0.53%) 내린 994.00으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 보다 0.70포인트(0.07%)오른 1000으로 개장해, 장중 1007..'연 2%대'로 낮아진 소상공인 2차 대출…약 3배 늘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을 위한 ‘2차 긴급대출’ 금리가 연 2%대로 낮아진 후 신규 대출 수요는 약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집합제한업종 임차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임대료 최대 1000만원 추가 대출에는 5일 동안 1만3000명이 몰렸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닷새간 실행한 소상공인 2차 대출은 총 7096건으로 조사됐다. 대출 금액은 1273억원이다. 1월..
![]() |
▲샤오미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미9’. 사진 제공=샤오미 |
한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
|
기업명(국가) | 점유율 |
삼성전자 | 59.4% |
애플(미국) | 27.6% |
LG전자 | 8.9% |
샤오미(중국) | 0.7% |
기타 | 3.4% |
5월 현재. 자료=스탯카운터 |
정보기술(IT) 등 관련 업계는 샤오미의 이번 국내 첫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를 두고 최근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제조사를 제외한 외국 업체들이 한국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하나 둘 발을 빼는 상황에서 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포석으로 보고 있다.
현재 소니가 올해 MWC서 공개한 프리미엄 스마트폰 ‘엑스페리아 1’을 우리나라에서 출시하지 않기로 한 가운데, 화웨이는 국내 이동통신사와 ‘P20’ 출시를 논의했지만 미국의 제재 문제로 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올해 출시될 애플의 ‘아이폰’ 신제품은 현재까지도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샤오미가 미9을 출시할 경우 5G 스마트폰을 제외한 한국에서 당장 이용할 수 있는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제품뿐이어서 외국 경쟁사들이 주춤한 틈새에 이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전자가 59.4%, 애플 27.6%, LG전자 8.9% 등을 차지하고 있어 4% 정도를 나머지 외국 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국내 중저가 폰 시장에서 나름의 입지를 확인한 샤오미가 이 같은 틈새를 파고 들어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으로 타깃을 넓혀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것"이라며 "국내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 시장 공략이 쉽지는 않지만 외국 경쟁사 사이에선 점유율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홍미 노트7’을 롯데하이마트와 헬로모바일, KT엠모바일 등 알뜰폰 사업자를 통해 판매했던 샤오미는 이번 미9도 우선 롯데하이마트를 통해 판매할 것으로 알려졌다.
0
실시간 종합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