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노조와의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을 쉽게 풀어가지 못하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열린 16차 교섭에서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사측에 제시안을 한꺼번에 내라고 요구했으나 회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아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곧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고 23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르면 이달 말 전체 조합원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일 가능성도 있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5월 30일 상견례 이후 협상을 진행해 왔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정년을 현재 만 60세에서 국민연금법에 따른 노령연금 수령 개시일이 도래하는 해의 전년도로 바꾸는 안을 회사에 요청했다.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적용하자는 안과 인원 충원, 해고자 복직, 고소·고발 철회 등도 요구안에 담겼다. 다만 사측과 의견 차이가 커 접점을 찾는 데는 한동안 진통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열린 16차 교섭에서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사측에 제시안을 한꺼번에 내라고 요구했으나 회사가 이를 수용하지 않아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곧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고 23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르면 이달 말 전체 조합원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일 가능성도 있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5월 30일 상견례 이후 협상을 진행해 왔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정년을 현재 만 60세에서 국민연금법에 따른 노령연금 수령 개시일이 도래하는 해의 전년도로 바꾸는 안을 회사에 요청했다.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적용하자는 안과 인원 충원, 해고자 복직, 고소·고발 철회 등도 요구안에 담겼다. 다만 사측과 의견 차이가 커 접점을 찾는 데는 한동안 진통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