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일본노선 위축…하반기 실적 우려"-한화투자증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8.07 08:51
[에너지경제신문=한수린 기자] 한화투자증권은 7일 제주항공에 대해 2분기 부진보다 하반기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3만8000원에서 3만4000원으로 하향한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다.

한화투자증권 김유혁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며 "공급과잉 시장으로 전환되면서 운임과 탑승률이 동반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한·일관계 악화로 성수기 모멘텀도 기대하기도 어려워지면서 단기에 실적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2분기 영업이익은 -27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며 "공급 확대를 여객수요가 따라오지 못해 운임과 탑승률이 동반하락한 점이 부진한 실적의 주 요인"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방발 노선 탑승률이 저조했으며, 일본노선 매출도 수요부진으로 전년동기비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진단했다. 그는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순이익도 적자전환했으며, 영업외에선 원화 약세 영향으로 외화환산손실이 80억원가량 반영됐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한·일관계 악화로 이익기여도 높은 일본노선의 수요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최근의 일본 불매운동은 기예약 티켓의 취소보다는 향후 예약률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일반적인 티켓예매 패턴(보통 1~2달 전)을 감안하면 8월말 이후 일본노선 업황은 더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동사의 일본노선 매출비중은 27% 수준이며, 거리가 짧을수록 수익성이 좋기 때문에 이익기여도는 더욱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제주항공이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지방발 비수익노선 축소, 지난 5월 배분받은 중국노선 일부를(주 21회) 8월에 신규 취항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지만 일본노선의 부진을 상쇄시키기까진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김연구원은 "예상보다 컸던 2분기 적자를 반영하고 하반기 및 내년 실적추정치를 하향조정하면서 목표주가를 하향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단거리 노선 공급과잉과 악화된 한·일관계 등이 단기에 해소되긴 어렵겠지만, 동사를 포함한 LCC들의 공급조절 노력과 중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장재편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시장점유율 1위 사업자인 동사의 점진적인 시장지위 확대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수린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