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왜란 맞설 ‘M&A 인수금융 협의체’ 이달 출범... 5조 실탄 장착해 글로벌IB와 협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8.07 11:42

산업·수출입·기업은행 등 참여해 화이트리스트 직접 타격 부문 중심 자금지원


▲"일본의 행위, 강력규탄한다!"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이유민 기자] ‘경제왜란’에 맞서 정부가 인수합병(M&A) 자금 지원 카드를 꺼냈다. 이에 3대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5조원의 실탄을 장착한 ‘M&A 인수금융 협의체’가 이달 말께 공식 출범한다. 특히 글로벌IB와 협업해 성공적인 M&A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과 합동으로 이달 말 해외 M&A 인수금융 협의체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협의체는 자금 지원은 물론 M&A 대상 기업 발굴, 컨설팅 등의 역할을 맡으며 글로벌 투자은행(IB) 등도 참여해 성공적인 M&A를 도울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참여 주체 모두가 협의체 결성에 동의한 상황으로, 글로벌 IB는 M&A 해외 소싱을 맡을 것이다"라며 "현재 협의체의 운용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자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M&A 지원 방침을 결정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 조치의 직접 타격을 받을 분야의 체질 개선을 위한 조치다. M&A 지원 대상에는 창업하거나 사업 재편·다각화 등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신규 진출하는 기업이 포함된다. 이들 기업에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핵심기술 획득이나 공급라인 확보 등을 위한 인수 자금을 지원한다. M&A 지원 여력은 기업은행 1조원, 수출입은행 1조5000억원을 더해 전용 기금 2조5000억원이 마련됐으며, 여기에 2조5000억원 규모의 산업은행 사업경쟁력 강화 지원 자금도 동원된다.

또한 정부는 M&A 법인세 세액공제에도 나선다. 해외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인수금액에 대해 2022년 말까지 대기업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의 공제율로 법인세 세액공제를 해준다.

이유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