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반도체 본사 전경. 사진 제공=서울반도체 |
[에너지경제신문=이종무 기자] 방사능 피폭 사고가 발생한 서울반도체가 ‘피폭 직원이 수십 명이 넘는다’는 보도와 관련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서울반도체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현재까지 협력사 진술을 바탕으로 진행된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사선 노출 의심자는 모두 7명"이라며 "의심 환자의 혈액 검사는 모두 정상으로 판정됐고, 염색체 이상 검사 등 정밀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한국원자력기술위원회가 지난 6·7·13·20일 4차례 회사를 방문해 관련자 면담과 작업장 내 방사선 노출 정도 측정 검사를 실시했으나 장비 주변과 해당 작업장에서는 방사선 노출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서울반도체는 다만 이번 사고에 대해 "서울반도체는 법 규정에 따라 산업안전 보건 교육 프로세스 준수를 성실히 이행해왔으나 협력사에서 위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가 발생한 장비는 소형 발광다이오드 패키지(LED PKG) 품질 검사 장비"라며 "문에 안전 장치 센서가 부착돼 있어 문을 닫아야만 엑스선 촬영이 가능하지만 이번 작업 과정에서는 안전 장치를 임의로 해제해 문을 열고도 엑스선 촬영이 가능했다"고 해명했다.
서울반도체 측은 또 "해당 협력사와는 도급 계약에 따라 업무 수행이 위임돼 있어 해당 업체 관리자를 통해 교육·업무 지시가 이뤄지고 있었다"며 "보도된 ‘물량 압박’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고 했다.
회사는 "이번 사고 발생으로 많은 분들께 걱정을 끼쳐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면서 "앞으로도 정부와 원안위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 모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MBC는 전날 ‘뉴스데스크’를 통해 "서울반도체 방사선 피폭 의심 환자 수가 당초 알려진 7명이 아닌 50명이 넘는다"며 "추가 확인된 피폭자 중 일부는 허용치를 크게 웃도는 방사능에 피폭된 것으로 의심돼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