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브랜드파이낸스 화학기업 평가…전년대비 4.8% 성장
1위 바스프·2위 다우 등 수익성 악화 브랜드 가치 떨어져
![]() |
▲LG화학이 올해 전 세계 주요 화학 기업들의 브랜드 가치를 조사한 결과, 4조원을 돌파하면서 국내 석유화학 업체 중 유일하게 세계 글로벌 순위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은 LG화학 직원이 진단시약을 테스트하는 모습. |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LG화학이 올해 전 세계 주요 화학 기업들의 브랜드 가치를 조사한 결과, 4조원을 돌파하면서 국내 석유화학 업체 중 유일하게 세계 글로벌 순위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17일 영국 글로벌 브랜드 평가 전문 컨설팅 업체 브랜드파이낸스의 ‘2020년 화학기업 25’ 보고서에 따르면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35억달러(약 4조1390억원)로 글로벌 순위 4위에 올랐다. 지난해 LG화학 브랜드 가치는 33억3800만달러(약 3조9470억원)였는데, 1년 사이 4.8% 성장하며 4조원을 돌파했다. 2018년 24억2100만달러에서 지난해 33억3800만달러로 37.9% 크게 성장한 데 이어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LG화학은 지난해 화학시장 업황 불황 속에서도 석유·화학 부문 수익성을 유지했고, 배터리 사업도 계속 성장해 지난해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한 바 있다.
반면 다른 주요 글로벌 화학사들의 브랜드 가치는 하락했다. 1위인 독일 바스프, 2위 미국 다우는 모두 순위는 전년과 같았지만 브랜드 가치가 떨어졌다. 바스프 브랜드 가치는 4.5% 하락한 78억7800만달러(약 9조3200억원), 다우 브랜드 가치는 29.0% 하락한 48억4300만달러(약 5조7천290억원)로 평가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사빅은 43억3400만달러의 브랜드 가치로 3위에 포진했고, 미국 듀폰은 지난해 5위에서 올해는 9위로까지 밀려났다. 듀폰 브랜드 가치는 32.6% 하락한 22억달러(약 2조6020억원)로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독일 산업용 가스 기업인 린데가 글로벌 화학 기업 10위 안에 처음으로 진입, 단숨에 5위에 올랐다. 린데의 브랜드 가치는 28억6100만달러(약 3조3840억원)로 평가됐다. 린데가 미국 프렉스에어(지난해 순위 9위)와 합병한 이후 새롭게 미국과 중국 시장 등에서 영향력을 확대한 결과다. 지난해 7위였던 프랑스 에어리퀴드는 브랜드 가치가 23.6% 떨어진 19억8200만달러(2조3450억원)로, 순위가 10위로 내려갔다. 지난해 10위로 지난해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 요시노 아키라를 배출한 일본 아사히카세이는 브랜드 가치가 5.4% 성장한 23억6800만달러(약 2조8000억원)로 7위로 상승했다. 이밖에 6위 미국 라이온델바젤(26억3700만달러), 8위 일본 미쓰비시케미칼(22억만달러)은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