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 단기외채비율 7년 만에 최고…"건전성 양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5.21 14:24

▲사진=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분기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과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비중이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단 정부는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는 크게 낮으며, 외채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 잠정치에 빠르면 3월 말 현재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7.1%로 지난해 말보다 4.2%포인트 상승했다. 2013년 3월 말 37.3%를 보인 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단기외채비중도 30.6%로 지난해 말보다 1.8%포인트 올랐다. 2012년 4분기 말 31.1%를 기록 한 후 가장 높다. 단기외채비중은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단기외채비율과 비중이 다소 상승했지만 정부는 외채 건전성 악화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표한 ‘1분기 대외채무 동향 및 평가’ 보도자료에서 "두 수치가 전 분기보다 다소 올랐지만, 과거 위기 때보다는 훨씬 낮은 30%대 수준을 유지했다"며 "외채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9월 말 단기외채비율은 78.4%, 단기외채비중은 51.7%에 각각 달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3월 말 한국의 대외금융자산(대외투자)은 전 분기보다 270억 달러 줄어든 1조6727억 달러, 대외금융부채(외국인의 국내투자)는 915억 달러 줄어든 1조1073억 달러다. 모두 코로나19 여파에 따라 증권 투자를 중심으로 줄었다.

한국의 대외 지급능력을 뜻하는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5654억 달러로, 645억 달러 증가했다. 역대 가장 많은 규모다.

대외금융부채 중 주식과 파생금융상품을 제외한 대외채무(외채)는 전 분기보다 188억 달러 늘어난 4858억 달러를 기록했다. 단기외채(1485억 달러)와 장기외채(3373억 달러)가 각각 140억 달러, 48억 달러 증가했다. 기재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은행 부문이 3월 중 미리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입을 늘린 결과인 만큼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면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