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삼성’ 인재 영입 1호는…AI 세계 최고 석학 ‘세바스찬 승’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6.24 11:27

삼성전자, 세바스찬 승 교수 삼성리서치 소장 전격 발탁


세바스찬 승

▲세바스찬 승(승현준) 삼성리서치 소장

[에너지경제신문=이종무 기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분야 세계 최고 석학인 세바스찬 승(승현준)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를 삼성리서치 소장(사장)에 전격 기용했다.


◇ ‘뉴 삼성’ 이후 외부 인재 첫 영입

24일 삼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승 교수를 삼성리서치 소장에 선임해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인 AI 기술력을 강화하고, AI 관련 사업과 전략을 고도화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성리서치는 삼성전자 통합 연구개발(R&D) 조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 13개 국가에 15개 R&D 센터와 7개 AI 센터를 두고 있다. 승 소장은 이들 센터의 미래 신기술과 융복합 기술 연구를 관장할 예정이다.

승 소장은 뇌 기반 AI 연구를 개척한 세계적 석학으로 그동안 미 프린스턴대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해왔다. 2018년부터는 삼성리서치 최고연구과학자(CRS)로 영입돼 삼성전자의 AI 전략 수립과 선행 연구 자문 역할을 맡으며 글로벌 AI 센터 설립과 AI 우수 인력 영입에 기여해왔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삼성은 "승 소장이 학계에서 쌓은 경험과 연구 능력, 연구기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적인 선진 연구자들과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하고, 우수 인재 영입으로 미래 기술 연구 역량을 증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삼성

▲지난해 4월 ‘반도체 비전 2030’ 선포식에서 발표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뒤로 세바스찬 승(승현준) 삼성리서치 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자리하고 있다.

◇ 인재제일 씨앗, 이 부회장이 ‘개화’

승 소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5월 이른바 ‘뉴 삼성’ 비전을 발표하며 회사의 미래를 위해 외부의 유능한 인재를 적극 영입하겠다는 뜻을 밝힌 이후 이뤄진 첫 영입 사례다. 이 부회장은 당시 "전문성과 통찰력을 갖춘 최고 수준의 경영만이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며 "삼성은 앞으로도 성별과 학벌 나아가 국적을 불문하고 훌륭한 인재를 모셔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의 이러한 인재 영입 철학은 호암 이병철 선대 회장의 ‘인재제일주의’ 정신에 기반한다. 이 부회장은 "인재는 확보하는 것만 중요한 게 아니며 이들을 키우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적재적소에 배치해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게 재계의 평가다.

실제 이 부회장은 2018년 3년간 180조 원이라는 막대한 투자 계획과 4만 명에 달하는 인재 육성 계획을 내놓으며 인재제일의 창업 정신을 이어가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특히 지난 5월에는대국민 발표 이후 발 빠르게 AI 핵심 인재 확보에 나서면서, 삼성전자의 핵심 미래 사업인 AI의 연구 역량과 AI 구현에 핵심인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제고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종무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