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소비 위축…1분기 가계 여윳돈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7.09 14:40
은행

▲사진=한국은행.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올해 1분기 가계 여유자금이 분기 기준 통계 작성 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가 위축된 영향 등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가계 및 비영리단체(이하 가계)의 순자금 운용액은 66조8000억원이다. 지난해 1분기의 27조8000억원보다 140.3% 급증했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8년 후 분기 기준 최대 규모다.

자금순환은 일정 기간 발생한 돈의 흐름을 경제주체와 금융자산별로 기록한다. 해당 기간 돈이 어디에서 어디로 흘러갔는지를 총괄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가계의 순자금 운용(자금운용-자금조달)이 양(+)의 값을 나타낸 것은 금융자산의 순 취득액(자금운용)이 금융부채의 순 발행액(자금조달)보다 더 컸다는 의미다. 즉 여윳돈이 늘었다는 뜻이다.

1분기 가계의 자금운용(금융자산 순 취득)은 81조8000억원이었다. 지난해 1분기의 35조6000억원 보다 46조2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의 자금조달(금융부채 순 발행)은 전년 동기의 7조8000억원의 약 두 배인 15조원이다. 1분기에 소득이 소폭 늘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가 위축된 영향을 받았다.

가계의 금융자산별 자금운용 변화를 살펴보면 금융기관 예치금 순 취득액이 36조9000억원에서 63조원 늘었다. 가계의 경우 저금리에 따라 대기성 자금이 늘며 단기 저축성 예금 등이 증가한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비금융법인기업(이하 기업) 부문은 순자금 조달 규모를 확대했다. 1분기 기업의 순자금 조달은 28조2000억원으로, 1년 전의 14조원보다 14조2000억원 늘었다. 2009년 1분기(34조8000억원) 이후 2번째로 순자금 조달 규모가 크다.

기업의 금융기관 예치금은 2조9000억원에서 17조원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불확실성이 확대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에 따라 단기 저축성 예금 중심으로 늘었다.

금융기관 차입은 19조5000억원에서 47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단 채권 발행 등 직접 금융을 이용한 자금 조달은 16조6000억원에서 14조9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경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집행하면서 일반정부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3000억원에서 26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분기 기준 통계 집계 시작 이래 가장 큰 수준이다.

올해 3월 말 국외 부문(비거주자)까지 포함한 모든 경제 부문 총금융자산은 1경8907조1000억원이다. 직전 분기보다 306조원 늘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