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데드라인 맞은 이스타항공···무산 가능성에 ‘무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7.14 15:45

제주항공 막판 고심···"추가지원책 없이는 파국 못 피할 듯"

PYH2020070712030001300_P4

▲공항 활주로에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여객기가 함께 서 있다. 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통보한 인수합병(M&A) 선결 조건 이행 시한인 15일이 다가오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제주항공의 현금 동원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데다 이스타항공 내부 노노갈등 등의 잡음까지 연출되고 있어 딜이 사실상 무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에 미지급금 해소를 포함해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공문을 보낸 상태다.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규모는 체불임금 260억원을 포함해 1700억원 수준이다.

이스타항공은 노사가 합심해 미지급금 규모를 줄였지만 이 과정에서 2개월치 임금 반납 여부 등을 두고 노노간 갈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정유·리스사에 미지급금 감면·인하 등을 두고 벌였던 협상도 무산된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가 뒤늦게 매각 협상에 입김을 불어넣으며 변수로 작용했지만 구체적인 지원책은 없어 분위기를 반전시키기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노동부는 앞서 지난 8일 이스타항공 노사를 잇달아 만나 체불 임금 해소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직원들의 임금 반납 의지 등을 제주항공에 전달하며 중재에 나섰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도 양측을 만나 M&A 성사를 촉구했다.

시장에서는 한때 제주항공이 고용 유지 등 대승적 차원에서 계약을 성사시킬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이스타항공에서는 전체 직원 1700여명 중 수습 부기장 80여명이 지난달 3월 계약 해지된 데 이어 60여명이 희망 퇴직했고 이후에도 100여명이 자진 퇴사한 상태다. 제주항공과의 M&A가 무산돼 이스타항공이 파산 수순을 밟게 될 경우 1500명 안팎의 근로자가 거리로 나앉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며 제주항공 역시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 당초 기대했던 ‘규모의 경제’ 조성을 통해 시너지를 얻기 보다는 구조조정이 필요한 시기 과도하게 몸집을 불려 ‘승자의 저주’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를 위해 지금까지 투입한 금액은 계약금 115억원과 대여금 100억원 등이다. 반면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규모는 1700억원에 달하고 향후 경영 정상화를 위해 추가 자금도 투입해야 한다. 계약을 깨는 게 제주항공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얘기다. 제주항공의 2대 주주인 제주도(7.75%) 까지도 이스타항공 인수에 부정적인 의사를 내비친 바 있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292억원, 영업손실 657억원, 당기순손실 1014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기준 현금과 현금성 자산은 68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고정비 부담이 큰 항공업 특성상 다른 기업을 인수할 수 있는 형편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전향적인 수준의 추가 자금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편 제주항공은 이날 입장 자료를 내고 "5월 15일 운수권 배분 당시 제주항공이 배정받은 11개 노선 중 김포∼가오슝, 부산∼상하이 노선을 제외한 9개 노선은 다른 항공사에서 신청하지 않은 단독 신청 노선이었다"고 밝혔다.

앞서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그동안 국토교통부의 운수권 배분 과정에서 제주항공이 이원5자유(현지 승객을 제3국으로 실어나를 수 있는 권리) 운수권을 독점적으로 배분받은 것이 이스타항공 인수에 따른 정책적 특혜였다고 주장해왔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여헌우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