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출 전년비 7% 감소…코로나 후 감소율 계속 하락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8.02 07:55

바이오·컴퓨터·반도체 등 6개 품목 수출 호조세
석유제품·철강 등 부진…무역수지 43억달러 흑자


◇ 7월 수출입 실적                                (단위:백만달러, %)
구 분 2019년 2020년
7월 4월 5월 6월 7월
수 출 46,078(△11.1) 36,322(△25.5) 34,850(△23.7) 39,230(△10.9) 42,831(△7.0)
      (일평균) 1,843(△14.6) 1,651(△18.8) 1,621(△18.4) 1,669(△18.4) 1,713(△7.0)
수 입 43,762(△2.6) 37,929(△15.8) 34,457(△21.0) 35,598(△11.2) 38,561(△11.9)
무역수지 2,316 △1,607 393 3,632 4,270



◇ 7월 주요 품목별 수출액·증감률                           (단위:억달러, %)
품 목 반도체 선박 컴퓨터 바이오헬스 무선통신 가전 이차전지
수출(증감률) 78.8(5.6) 17.9(18.0) 11.8(77.1) 10.4(47.0) 11.1(4.5) 6.5(6.2) 6.0(△3.6)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차부품 디스플레이 섬유
36.6(△4.2) 37.8(△15.5) 29.7(△21.0) 20.2(△43.2) 22.2(△18.7) 14.8(△27.7) 13.2(△28.4) 9.7(△15.0)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7월 우리나라 수출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본격화한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 감소율을 나타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7% 감소한 428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월별 수출은 코로나19 여파로 2월 3.5% 증가에서 3월 1.6% 감소로 돌아선 뒤 4월 -25.5%, 5월 -23.6%, 6월 -10.9%에 이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감소율은 넉 달 만에 한 자릿수로 진입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세계 교역과 주요국의 수출이 동반 부진한 가운데 한국 수출은 3개월 연속 회복세에 있다"고 평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도 5∼6월 연속 -18.4%를 기록했다가 7월 -7.0%로 둔화했다. 수출 규모는 4개월 만에 400억 달러대로 회복했고, 하루 평균 수출액도 4개월 만에 17억 달러를 넘어섰다.

산업부 관계자는 "주요 품목의 수출 감소가 여전했지만 15대 수출 품목 가운데 6개 품목이 플러스로 돌아서면서 수출 감소율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바이오·헬스(47.0%), 컴퓨터(77.1%), 반도체(5.6%), 선박(18.0%), 가전(6.2%), 무선통신기기(4.5%)가 7월 수출을 떠받쳤다. 한때 50% 넘는 감소율을 보였던 자동차(-4.2%)는 한 자릿수 감소세를 나타내며 비교적 선방했다. 반면 석유제품은 저유가 영향으로 43.2% 감소했고, 석유화학(-21.0%), 일반 기계(-15.5%), 철강(-18.7%), 차 부품(-27.7%), 디스플레이(-28.4%)는 여전히 부진했다.

지역별로 보면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대미 수출도 5월 -29.3%에서 6월 -8.3%였다가 7월에 7.7% 증가로 돌아섰다. 20%대 초반까지 하락했던 유럽연합(EU) 수출도 -11.1%로 둔화하는 모습이다.

7월 수입은 11.9% 감소한 385억6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무역수지는 42억7000만달러로 3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무역수지는 4월 16억1000만달러 적자에서 5월 3억9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선 뒤 6월에도 36억3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4월 이후부터 수출 감소율이 꾸준히 개선되면서 7월 들어 한 자릿수에 진입한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여러 면에서 긍정적 회복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정부도 8월 초 관계부처 합동으로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내놓는 등 새로운 수출동력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