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號 에너지전환..."2035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걸림돌에 직면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11.16 08:10

-청정에너지 분야 4년간 2조달러 투입 ‘탄소배출 제로’ 공약 추진속



-전문가들 "4조 5000억 달러 필요할 것…가구당 3만5000달러 부담"



-주력 발전 천연가스·석탄 비중 감소 불가피 대체 자원 확보도 시급



-원전도 폐쇄 늘어 원전산업 활력 잃을땐 탈탄소 달성 어려워질 수도



-포브스 "태양광·풍력발전 설치 등 지역사회와 갈등 봉합도 풀어야"

2020111100020063470.jpeg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조 바이든 행정부가 내년 공식 출범하면서 미국 에너지 산업에도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든 당선인은 후보시절 2035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4년 동안 펼쳐왔던 친(親)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과 워낙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바이든 당선인의 친환경 공약이 가시화되기까지는 거쳐야 할 난관이 적지 않다고 분석했다. 16일 미 경제매체 포브스는 "대통령으로서, 바이든은 미국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복잡한 에너지 네트워크를 15년 안에 개편하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 에너지전환 비용 누가 지불하나...‘가구당 3만 5000달러’

우선 화석연료에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과 관련해 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포브스는 "민주당은 서민과 노동자 계층을 대변하는 정당인데 발전그리드의 탈(脫)탄소는 막대한 예산이 요구되지만 이는 결국 전기료 또는 세금 인상 등의 형태로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것"이라며 "민주당이 불평등을 줄이고 빈곤층과 중산층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려면 기후변화 에 대한 실천욕구와 현실과의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발전체계의 탈탄소가 현실성이 떨어진 채 진행될 경우 이에 대한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특히 바이든 당선인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앞으로 4년간 2조 달러(약 2231조 원)를 투입하겠다고 공약했는데 전문가들은 이보다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될 것으로 지적했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우드 맥킨지는 미국 발전그리드의 탈탄소가 실현되기 위해 4.5조 달러(약 5021조 원)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우드 맥킨지는 "각 가정이 부담해야 할 금액은 무려 3만 5000 달러(약 3900만 원)에 이른다"며 "탈탄소를 20년 계획으로 잡을 경우 비용이 연간 거의 2000 달러(약 223만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바이든 당선인이 15년에 걸친 탈탄소 계획을 제시한 점을 고려하면 미국 가정이 매년 부담해야 할 금액은 2000 달러를 웃돌 것으로 점쳐진다.


◇ 어마어마한 화석연료 발전비중...도태되는 美 원전산업

이와 함께 현재 미국에서 주력 발전원으로 꼽히는 천연가스와 석탄의 비중을 줄이면서 대체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것도 또 다른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이 발표한 ‘2020 에너지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천연가스와 석탄의 발전량이 2754.4 테라와트시(TWh)로 집계됐는데 이는 총 발전량 대비 약 63%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는 또한 지난해 세계 모든 원자력발전소나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생산한 전력과 맞먹는 규모이기도 하다. BP에 따르면 작년 글로벌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각각 2796 TWh, 2805.5 TWh로 집계됐다. 바꿔 말하면 미국의 온전한 탈탄소가 실현되려면 현재 전 세계에서 가동중인 원자력발전소나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미국에 추가로 설치되어야 한다.

문제는 미국의 원전 산업이 도태되고 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현재 운영 중인 원자력발전소는 57기, 원자로는 95기로 집계됐다. 가장 최근에 가동된 원자로는 발전설비가 1.1 기가와트(GW) 급인 와츠바(Watts Bar) 2호기로, 2016년 10월에 운영이 개시됐다. 현재 건설 중인 원자로는 2기에 불과하지만 24기의 원자로가 해체 중에 있다.

그러나 뉴욕 주에 위치한 인디안 포인트 2호기 원자로가 올 4월 조기 폐쇄됐고 내년 3월에는 3호기가 문을 닫을 예정이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NYP)는 폐쇄 배경에 대해 "사고와 방사능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설명했고 "인디안 포인트 2호기가 그동안 생산해왔던 전력은 대부분 천연가스로 대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 최대 원전업체 엑셀론은 일리노이 주에 운영하는 바이론과 드레스덴 원전을 내년말까지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원자력은 탄소배출이 없는 대표적인 발전원으로 꼽히지만 현재 미국처럼 원전산업에 활력이 다시 불어나지 않을 경우 탈탄소 달성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라는 태생적인 단점으로 인해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 바이든 당선인의 선거 홈페이지에서는 차세대 원전(AMR)의 상용화를 100% 청정에너지 달성을 위한 수단 중 하나로 거론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포브스는 "바이든 당선인과 민주당이 폐쇄를 앞두고 있는 원전에 대한 재정적, 정치적 지원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포브스는 토지수용 등을 두고 지역사회에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점을 에너지전환과 관련해 마지막 걸림돌로 꼽았다. 포브스는 "바이든 당선인은 태양광 패널 5억 개, 풍력발전소 6만 기를 설치하고 싶다고 말했지만 미국 전 지역에서 토지 소유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은 소음, 전망, 야생동물, 재산가치와 관련된 우려로 태양광과 풍력 프로젝트를 거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