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의도나 머릿속에 ‘아동반품’이라는 의식 자체가 없다"며 "어떻게 그런 발상이 가능했는지 오히려 궁금하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인터뷰에서 프랑스 등의 사례를 들어 "(사전위탁보호제는) 각국에서 운영되고 우리나라에도 있는 제도"라며 "어제 (대통령) 말의 전체 맥락을 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었을 텐데 조금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정 기간 안에 입양을 취소하든지, 입양하려는 마음은 강하지만 아이와 맞지 않으면 입양아동을 바꾸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며 "입양 자체는 위축시키지 않고 입양아동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국민의 힘은 "아동을 물건 취급했다"며 맹비난에 나섰다.
국민의힘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인이 사건 방지책은 결국 ‘교환 또는 반품’인 것인지 궁금하다"며 "인권변호사였다는 대통령 말씀 그 어디에도 공감과 인권, 인간의 존엄은 없었다"고 밝혔다.
또 김미애 비대위원은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도 아니고, 개나 고양이도 아니다. 개나 고양이에도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허은아 의원은 "무엇이든 자신의 이익을 수단으로 이용하는 소시오패스가 아니라면 이런 발상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했다.
논란이 커지자 청와대는 대통령의 발언이 입양 활성화를 위해 입양제도를 보완하자는 뜻이라며 현재 입양 확정 전 양부모 동의하에 관례적으로 활용하는 사전위탁보호 제도 등을 보완하자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