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온탕 오간 바이든·푸틴 첫 통화...‘팽팽한 기싸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1.27 14:17
Russia US Nuclear Treaty

▲2011년 부통령 시절 당시의 조 바이든(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우)(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유예닮 기자] 조 바이든 신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했다. 양국 정상은 핵 감축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스타트)을 연장을 확인하고 소통과 정상화에 뜻을 모았지만 서로에 대한 민감한 사안들을 직접 언급하는 등 팽팽한 기싸움도 벌였다.

26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두 정상은 26일(현지시간) 통화를 통해 뉴스타트 조약 연장에 합의했다. 이 사안에 대해 백악관은 2월 5일 까지 연장을 완료하도록 협력하는데 양 정상이 동의했다고 밝혔고, 크렘린궁은 두 정상이 뉴스타트 조약 연장에 만족해 필요한 절차를 수일 내에 마무리하기로 합의했다고 타스통신을 통해 전했다.

뉴스타트 조약은 2010년 4월 미국과 러시아가 체결한 조약으로, 실전 배치 핵탄두 수를 1550개 이하로 제한하고 이를 운반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전략폭격기 등의 운반체를 700기 이하로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뉴스타트 조약 합의 외에도 푸틴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과 워싱턴과 모스크바의 관계 정상화에 대한 얘기가 오갔다.

하지만 두 정상은 서로 상대국의 행동에 대해 언급하면서 기싸움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주권에 대한 미국의 지지 △러시아의 미연방기관에 대한 해킹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살해 사주 △지난해 미국 대선에 대한 개입 △러시아 야권 인사인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시도 등 러시아가 배후로 지목된 사건들에 대해 언급했다.

이들 사건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극적 태도를 보이거나 적극적으로 비판하지 않은 사안들로, 러시아에 저자세를 보였다는 지적을 받은 트럼프 행정부와 단절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은 "두 대통령은 앞으로 투명하고 일관된 소통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첫 통화 때부터 푸틴 대통령에게 단순한 신경전을 벌인 것을 넘어 강한 경고의 목소리를 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AP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 때 미국이 러시아의 해킹, 미군 살해 사주 의혹을 평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가 아무런 응징도 받지 않은 채 행동하진 못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추가 제재를 포함해 조처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미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우리나 동맹에 해를 끼치는 러시아의 행동에 대응해 국익을 지키기 위해 단호히 행동할 것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반면 크렘린은 이날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이 △미국의 일방적인 항공자유화조약 탈퇴 △미국이 탈퇴한 이란 핵 합의(JCPOA) 유지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정상회의 소집 구상 등의 국제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전했다고 밝혔다.푸틴 대통령도 미국의 국제조약 탈퇴 문제 등을 지적하고, 동시에 미국의 협조가 필요한 현안들도 언급한 것이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양국 관계의 정상화가 서로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부연했다.

유예닮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