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관세 폭탄’ 구리 가격 더 오른다는데…국제 은값도 뛴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9 12:04

트럼프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13% 급등

“관세 발효 전 미국에 구리 유입 급증”…가격 추가 상승 부추겨

구리 상승에 銀도 주목해야…은 시세 13년래 최고치

“美 구리 절반이 수입산…제조업 경쟁력 약화” 지적도

METALS-RESEARCH/GOLDMANSACHS

▲구리 정제시설(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구리 가격이 앞으로 더 뛸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산업재 성격이 강한 은값도 덩달아 오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13.1% 급등한 파운드당 5.6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1989년 이후 하루 기준 가장 큰 상승폭이라고 CNBC는 전했다. 장중에는 최대 17% 폭등하기도 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리 관세 부과 계획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 회의에서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구리의 경우 관세율을 50%로 정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 정부의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은 어느 정도 예견돼 있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25일 구리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상무부에 지시했고 그 영향으로 구리 가격은 지금가지 27% 가량 상승했다.


그러나 구리에 대한 관세율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것이 가격 급등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구리에 대한 50% 관세에 대해 “지난 2월 관세 위협을 두 배로 늘렸다"며 “미국 제조업 부활을 위해 수입산 철강 및 알루니늄에 부과한 50% 관세율과 동일해진다"고 짚었다.




이같이 구리에 대한 관세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배경엔 구매업체들이 관세 발효 이전에 웃돈을 얹으면서 물량 확보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구리 선물가격이 급등하자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보다 25%의 프리미엄이 붙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LME 구리 가격은 글로벌 벤치마크 가격으로, 미국 시세가 글로벌 시세보다 비싸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관세 도입 전 물량을 신속히 미국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을 부추길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구리 시세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컨설팅업체 플러스마이닝의 후안 칼로스 구아하르도 창립자는 “시장은 더 낮은 관세율을 예상했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격이 더 크게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관세 발효 전 구리 매입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TD증권의 바트 멜렉 원자재 전략 총괄은 “(COMEX와 LME의 구리) 가격차가 매력적이다"라며 “따라서 우리는 가능한 한 많은 물량이 미국에 유입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이는 글로벌 공급에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귀금속매체 킷코에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구리 재고가 미국으로 이동되고 있다"며 구리 가격이 올 연말까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이어 세계 곳곳에서 구리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블룸버그는 데이터센터, 자동차업체, 발전기업 등이 전기차 생산, 전력망 용량 확대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구리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짚었다.


은값 강세

▲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서 관계자가 실버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은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구리는 주요 산업에 널리 사용돼 경기를 잘 예측한다는 의미에서 '닥터코퍼'로 불리며 은 또한 경기에 민감한 원자재다.


블루라인 퓨쳐스의 필립 스트레이블 수석 시장 전략가는 “구리가 먼저 움직이면 은은 폭발할 것"이라고 주장했고 마켓게이지의 미셸 슈나이더 수석 시장 전략가는 구리 가격 흐름을 주도하는 수요가 은에게도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은 또한 공급이 부족한 산업재 원자재"라고 말했다.


이날 COMEX에서 은 선물 가격은 온스당 36.7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달 은 시세는 2012년 2월 이후 약 13년만에 처음으로 온스당 36달러선을 돌파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구리 관세가 부메랑이 되어 미국의 경쟁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블룸버그는 “구리 구매의 거의 절반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미국 공장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미국 구리 가격이 급등하는 과정에서 미국 제조업체들의 투입 비용이 세계 다른 지역 경쟁사들보다 더 높아졌다고 짚었다.


미국 최대 구리 수입업체인 사우스와이어 컴퍼니는 지난 4월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서면 의견서에서 “구리음극(copper cathode) 수입에 대한 여하한 제한 조치도 결국 구리 공급을 중국으로 전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미국의 구리 생산업체들은 단기 및 중기적으로 공급 부족에 직면할 것이다. 미국의 구리 생산이 공급 부족을 메울 만큼 매우 빠르게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멜렉 총괄도 “(구리 관세가) 투입 비용을 증가시켜 미국산 제품을 더 비싸게 만들 것"이라며 미국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