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2500대 R&D기업수…한국 56개, 중국 536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3.02 15:29

2014년 엇비슷했으나 5년 후인 2019년 10배 차이로 벌어져

전경련23

▲세계 2천500대 R&D 기업 중 한국 기업의 위상 변화/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우리 반도체 등 ICT 제조업 분야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는데도 중국의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우리 기업 R&D(연구개발) 투자 환경을 개선해 신산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일 유럽집행위원회의 R&D 기업 보고서를 2011년부터 분석한 결과 세계 2500대 R&D 기업 중 한국 기업 수는 2014년 80개에서 2019년 59개로 21개 줄었다고 밝혔다. 전 세계 R&D 금액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3.9%에서 2019년 3.6%로 0.3%포인트 감소했다. 한국은 201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율이 세계 1위인 4.29%를 기록하며 글로벌 R&D 투자를 이끈 바 있다.

전경련 측은 ‘R&D 코리아’ 자리가 위협받고 있는 배경엔 중국이 2015년 ‘중국제조 2025’이라는 국가전략 수립 후 기술 굴기(우뚝 섬)를 추진하면서 중국 기업들이 약진한 결과라고 설명이다.

실제로 세계 2500대 R&D 투자기업 가운데 중국 기업 수는 2011년 56개에서 2019년 536개로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R&D 투자액은 연평균 30.8% 증가해 201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해 세계 2위로 뛰어올랐다.

중국 기업들의 고공행진은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자금지원에서 시작되고 있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14~2018년 매출액 대비 정부 지원금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5개 반도체 기업 중 3개가 중국이었다.

반면 한국 기업의 위상이 약화되고 있는 데엔 R&D 투자가 반도체 등 일부 정보통신기술(ICT) 품목에 편중되고, 특정 기업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2019년 2500대 R&D 기업에 진입한 한국과 중국, 일본 기업의 업종별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ICT 제품 비중이 58.9%에 달했다. 그러나 ICT 서비스, 헬스케어 등 신성장분야에 대한 R&D 투자 비중은 낮았다. 이 2개 분야의 R&D 투자 비중은 중국과 일본은 각각 23%, 17%였으나 한국은 4%에 불과했다. 또 2019년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의 R&D 투자 1위 기업이 자국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한국의 삼성전자는 47.2%나 됐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반도체 등 ICT 제조업 분야에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으나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업 분야에선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기업 R&D 투자환경을 개선해 신산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