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정체성 되찾나…새 이사장에 강대우 교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6.14 16:43
강대우

▲강대우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명예교수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새 이사장에 강대우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가 내정됐다.

3년 임기를 마치고 대통령 소속 탄소중립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임명된 윤순진 전 이사장(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후임이다.

기관장이 환경 전문가에서 에너지 전문가로 바뀌면서 업계에서는 원자력문화재단으로 출발한 기관의 정체성을 되찾을지 주목하고 있다.

재단은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재단 명칭이 바뀌고 이사장도 환경 전문가가 맡았다.

또 이 과정에서 재단 예산 및 조직도 줄어드는 등 진통과 시련을 겪었다.

강대우 교수는 14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새 이사장 내정 사실을 확인한 뒤 "에너지와 환경 고루 균형 잡힌 시각으로 재단을 운영하겠다"며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기관과 민간에 대한 정확한 통계 및 평가 시스템 등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대우 내정자는 오는 26일 공식 취임해 임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이사장은 비상임이기 때문에 이사회 결정을 거쳐 선출된 이후 산업통상자원부의 임명이 아닌 승인을 받는 절차로 마무리된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지난 8일 3차 이사회를 열고 오는 25일 임기가 끝나는 윤순진 이사장의 후임 선임에 대한 안건을 논의했다. 논의 결과 윤 이사장의 후임 이사장으로 강대우 동아대 교수를 선임했다.

강대우 내정자는 에너지자원 전문가로 통한다.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로 34년을 지냈으며 일본 동북대 자원공학과 교수로도 재직했다. 한·몽골 자원협력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으며 몽골 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와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명예교수로 몸담고 있다.

강대우 내정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후보 시절 대선캠프에서도 활동한 이력이 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부산 선거대책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학계 등 분야별 전문가들을 영입하는 데 일조했다고 알려져 있다. 전국사립대학교수협의회장을 역임한 강 교수는 지난 2014년 부산시교육감에 출마한 바 있으며 지난 2018년 한국가스공사 사장직 최종 후보자까지 오른 바 있다.

강대우 이사장 내정을 두고 업계에서는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의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재단 자체가 정확하고 정직한 정보를 활용해 에너지 분야의 소통 기반을 구축하는 역할을 맡는 만큼 이사장 자리에도 에너지 자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진 인물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의 에너지 산업의 역할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면서 에너지자원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지난 1992년 원자력문화재단으로 설립됐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5년이 지난 2017년 기관명을 변경했다.

이어 환경전문가인 윤순진 서울대 교수를 이사장으로, 탈(脫)원전을 주장해 온 시민단체 녹색연합 활동가인 윤기돈 씨를 상임이사로 임명하면서 환경에만 치우친 ‘탈원전 노림수’ 인사가 아니냐는 지적도 이어졌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비상임인 이사장과 별도로 대표직을 맡고 있는 윤기돈 상임이사의 후임자 공모도 이날 마감했다. 윤 상임이사는 환경단체인 녹색연합 사무처장 출신이다. 후임자 공모의 후속절차는 15일 서류전형, 17일 인사추천위원회 면접 등 일정으로 진행된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현재 정규직 현원 30명(정원 40명)에 올해 연간 예산 39억원으로 에너지 정보의 제작과 확산, 국민참여 에너지 문화 형성,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협력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명칭 변경 전 원자력문화재단 당시 정규직 정원은 40명으로 현재와 같았으나 당시 정원 30여명과 연간예산 52억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조직과 예산이 축소된 것이다.

claudia@ekn.kr
오세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