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조직개편…신설 제2차관실에 전력국·수소국 신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7.12 10:34
clip20210711120129

▲산업통상자원부 조직 개편 가안. 산업부는 기존 차관(1차관) 아래 에너지자원실을 에너지차관(2차관) 산하로 이관할 방침이다. 통상교섭본부장 산하 무역투자실은 1차관 산하로 이관한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정부가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정책 강화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에너지 전담 차관과 함께 전력국과 수소국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12일 관가에 따르면 에너지전담 차관 직속으로 자원산업정책국과 수소국이 배치되며, 에너지산업실장 산하에 에너지전환국, 전력국, 재생에너지국, 원전산업정책국이 배치된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부 조직개편안이 이르면 이번 주에 확정될 예정이다. 전력국 안에 전력계통혁신과와 신산업분산에너지과 등 2개 과가, 재생에너지국에는 풍력과 태양광을 전담할 재생에너지보급과가, 수소국에는 수소산업과가 신설되는 등 총 4개과 정도가 새로 만들어진다.

산업부는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2005년 복수차관제가 시행되면서 제2차관직을 신설했다. 이후 계속 유지되다 이번 정부 들어 제2차관 직제가 사라지고, 통상업무를 전담하는 통상교섭본부(차관급)가 신설됐다. 그러다 지난해 11월 문재인 대통령이 에너지 전담 차관을 신설하겠다고 밝히면서 법 개정으로 이어졌다. 에너지 차관이 신설되면 산업부는 사실상 3차관 체제의 거대 조직이 된다.

산업부는 지난 연말 현행 1실 3관 1단 17과로 구성된 에너지전담조직을 신설되는 에너지 차관 밑에 ‘에너지전환실’과 ‘에너지산업실’ 등 2실을 두고 그 아래 에너지전환정책관 등 6관을 배치해 100여명의 인력을 증원하는 개편안을 짰다. 그러나 후속 협의 과정에서 행정안전부가 실 단위 조직 증설이 아닌 2국, 5과 가량만 늘리는 내용의 개편안을 산업부에 제시했고, 인력 증원 규모도 수십 명 수준으로 줄이도록 했다. 행안부가 제시한 안에는 수소국과 신산업에너지국 등 2개국과 계통혁신과, 재생에너지보급과, 수소산업과 등 3개 과를 신설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산업부는 일부 명칭 수정과 함께 직속국 변경, 에너지분석협력과, 원전지역협력과, 풍력에너지과, 그린수소과 등 4개 과의 추가 신설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두 부처는 수소경제를 전담할 ‘수소국’과 탄소중립의 핵심인 전력분야 시스템 혁신을 위해 ‘전력국’을 신설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몇 개 과를 신설할지 등 세부 내용은 행안부와 아직 협의 중"이라며 "7월 중순에야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jjs@ekn.kr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