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미세먼지 다시 악화?...중국, 경제성장 위해 석탄생산 더 늘린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3.14 19:45
2022031401000538000022511

▲중국 석탄발전소(사진=AF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중국이 자국내 석탄 생산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이 어려워지자 화석연료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자급자족을 통한 경제성장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돌린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이 그동안 강조해왔던 탄소중립 실현에 제동이 걸릴 것은 물론 우리나라에 대거 유입되는 중국발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도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4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지난 주 주요 광산 지역 관리들과 만나 자국내 석탄 생산능력을 3억톤 가량 증가시키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NDRC는 또 6억 2000만톤 어치의 재고를 추가로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구체적으로 1억 5000만 톤의 석탄은 새로운 광산 발굴을 통해 생산되고 나머지 1억 5000만 톤은 폐쇄됐던 광산에서 채굴활동을 재개해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NDRC는 이런 계획이 실현될 경우 중국의 하루 평균 석탄 생산량은 1260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역대 최대치를 또 다시 경신하게 된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3억톤의 생산능력은 중국이 통상적으로 수입하는 규모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NDRC는 석탄 증산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빠른 시일 내 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그동안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차원에서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하는 정책을 펴왔다. 그러나 최근 우크라 사태로 글로벌 원자제 가격이 폭등해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리자 중국이 환경 목표보다 경제성장을 위한 에너지 안보를 지키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읽힌다.

실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5일 "탄소 배출을 낮추는 동시에 에너지 안보와 산업 공급망의 안전을 확보해 민중의 정상적인 생활을 보장해야 한다"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또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올해 초 "중국은 충분한 석탄을 보유하고 있고 석유와 가스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경제 성장을 대가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었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는 20차 당대회 개최를 앞두고 올해는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는 경제 정책 기조를 제시한 상태다. 이로 인해 저탄소 정책은 상대적으로 뒷전으로 밀려났다.

시 주석이 2020년 유엔총회 연설에서 자국 탄소 배출량이 2030년까지 정점을 찍고 내려가 2060년에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을 계기로 중국은 저탄소 녹색 성장을 최우선 국정 기조로 삼았다. 그 이후 중국의 석탄 생산량은 점진적 감소 추세에 들어섰다. 중국 당국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이 정점을 찍기 위해선 2025년 이후부터 석탄 소비가 감소세를 보여야 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전력 대란으로 인한 민심 악화와 산업 충격에 놀란 중국 당국은 대대적 석탄 증산 명령을 내렸고 작년 10월부터는 다시 석탄 생산이 급증하는 추세다. 그 결과 세계 최대 석탄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작년 석탄 생산량은 40억 톤을 웃돌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석탄 생산량을 더욱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이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석탄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는 점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